“고등어가 먹고 싶지만 가격이 비싸서 꽁치로 아쉬움을 달래지요.”
저녁 반찬거리를 준비하러 마트를 찾은 주부 이정아(38) 씨는 2배가 넘게 오른 고등어 가격에 새삼 놀랐다.
지난해 마리당 2000원 정도이던 고등어 가격이 올해는 4500원으로 2배가 넘게 뛴 것.
이에 김 씨는 치솟는 식탁물가를 따라잡기 힘들어지자 영양소는 비슷하지만 보다 저렴한 식재료 위주로 식탁에 변화를 줬다.
김 씨는 “굳이 가격이 오른 고등어를 사먹을 이유가 없다”며 “비싼 고등어 대신 꽁치나 물오징어 등으로 대체하고 있는데 생선도 못 먹을 형편이 됐나 싶어 기가 막힐 뿐”이라고 말했다.
고물가에 소비자들의 소비행태가 변하고 있다.
장바구니 물가는 뛰는데 지갑은 얇아지면서 소용량 포장제품, 리필상품 등 절약형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패턴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소비자들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체식품으로도 눈을 돌리고 있다.
삼겹살 대신 목심, 고등어 대신 꽁치를 찾는 식이다.
실제 홈플러스 동대전점에는 가격이 비싼 갈치보다 비교적 저렴한 꽁치와 물오징어를 찾는 소비자가 크게 늘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소비자들이 기존 상품보다 저렴한 대체상품을 선호하는 이른바 ‘불황형 소비패턴’이 두드러지고 있다. 고등어보다 더 싼 꽁치를 찾는 고객이 올 들어 늘고 있다”면서 상품 구성도 대체상품의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 중에서도 육류 대체재로 소비되는 계란과 참치, 햄, 통조림류 등의 매출이 두드러진다.
동대전점이 1월부터 5월까지 매출을 분석한 결과, 참치(18.3%)와 계란(6.5%) 등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 번 요리할 때 전량 소모할 수 있는 소량포장 제품도 잘 팔린다.
수박, 무 등 크기가 큰 과일이나 야채를 절반이나 1/4쪽으로 잘라 소량 포장한 제품들로, 가족이 적은 소비자에게 인기다. 과일, 야채류는 냉장고에 보관해도 며칠만 지나면 신선도가 떨어지거나 폐기처분해야 하는데 잘라 판매하는 제품은 오히려 경제적이라는 반응이다.
외식비를 줄여주는 대체상품의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
저녁 반찬거리를 준비하러 마트를 찾은 주부 이정아(38) 씨는 2배가 넘게 오른 고등어 가격에 새삼 놀랐다.
지난해 마리당 2000원 정도이던 고등어 가격이 올해는 4500원으로 2배가 넘게 뛴 것.
이에 김 씨는 치솟는 식탁물가를 따라잡기 힘들어지자 영양소는 비슷하지만 보다 저렴한 식재료 위주로 식탁에 변화를 줬다.
김 씨는 “굳이 가격이 오른 고등어를 사먹을 이유가 없다”며 “비싼 고등어 대신 꽁치나 물오징어 등으로 대체하고 있는데 생선도 못 먹을 형편이 됐나 싶어 기가 막힐 뿐”이라고 말했다.
고물가에 소비자들의 소비행태가 변하고 있다.
장바구니 물가는 뛰는데 지갑은 얇아지면서 소용량 포장제품, 리필상품 등 절약형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패턴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소비자들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체식품으로도 눈을 돌리고 있다.
삼겹살 대신 목심, 고등어 대신 꽁치를 찾는 식이다.
실제 홈플러스 동대전점에는 가격이 비싼 갈치보다 비교적 저렴한 꽁치와 물오징어를 찾는 소비자가 크게 늘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소비자들이 기존 상품보다 저렴한 대체상품을 선호하는 이른바 ‘불황형 소비패턴’이 두드러지고 있다. 고등어보다 더 싼 꽁치를 찾는 고객이 올 들어 늘고 있다”면서 상품 구성도 대체상품의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공식품 중에서도 육류 대체재로 소비되는 계란과 참치, 햄, 통조림류 등의 매출이 두드러진다.
동대전점이 1월부터 5월까지 매출을 분석한 결과, 참치(18.3%)와 계란(6.5%) 등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 번 요리할 때 전량 소모할 수 있는 소량포장 제품도 잘 팔린다.
수박, 무 등 크기가 큰 과일이나 야채를 절반이나 1/4쪽으로 잘라 소량 포장한 제품들로, 가족이 적은 소비자에게 인기다. 과일, 야채류는 냉장고에 보관해도 며칠만 지나면 신선도가 떨어지거나 폐기처분해야 하는데 잘라 판매하는 제품은 오히려 경제적이라는 반응이다.
외식비를 줄여주는 대체상품의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