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마스터플랜(종합계획)이 지난 8일 확정되면서 하천부지를 빌려 농사로 생계를 잇던 주민들 요구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본보 1월 29일자 1면 등 보도>
그동안 한강과 금강의 하천부지 주민들이 각자 생계대책을 요구해 왔다면 오는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예정돼 있는 집회는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목소리를 내기로 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9일 ‘부여 하천부지, 경기 팔당지구 내 생계대책위원회’에 등에 따르면 이들은 17일 주민 800여 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기로 했다.
이날 집회에는 부여 세도면 주민 600여 명과 경기 남양주시·광주시·양평군 주민들 200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천부지 주민들은 우선 4대강 살리기 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있지만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판단, 해당 부지를 사업계획에서 빼거나 시설비와 농작물의 실비보상을 받는 데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재 금강 주변에서 하천부지를 빌려 농사를 짓는 농가는 모두 2804가구이며 비닐하우스 886만 2364㎡를 포함해 총 2272만 3481㎡의 하천부지가 점용된 상태다.
이 가운데 80%가 넘는 2214가구가 부여에 몰려 있으며 면적도 1300만㎡에 이르고 있다.
주민들은 "이 지역은 방울토마토와 수박 등의 집산지"라며 "본격적인 금강살리기 사업이 시작되면 약 1700여 명의 주민들이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집단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특히 "부여 200만 평의 하천부지 가운데 우리 세도면이 162만 9000평에 달하고 있다"며 "그동안 우리 주민들은 하천점용부지에서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이어 왔다. 보상과 생계대책 없이 금강살리기 사업을 전개하면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그동안 한강과 금강의 하천부지 주민들이 각자 생계대책을 요구해 왔다면 오는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예정돼 있는 집회는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목소리를 내기로 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9일 ‘부여 하천부지, 경기 팔당지구 내 생계대책위원회’에 등에 따르면 이들은 17일 주민 800여 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기로 했다.
이날 집회에는 부여 세도면 주민 600여 명과 경기 남양주시·광주시·양평군 주민들 200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천부지 주민들은 우선 4대강 살리기 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있지만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판단, 해당 부지를 사업계획에서 빼거나 시설비와 농작물의 실비보상을 받는 데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재 금강 주변에서 하천부지를 빌려 농사를 짓는 농가는 모두 2804가구이며 비닐하우스 886만 2364㎡를 포함해 총 2272만 3481㎡의 하천부지가 점용된 상태다.
이 가운데 80%가 넘는 2214가구가 부여에 몰려 있으며 면적도 1300만㎡에 이르고 있다.
주민들은 "이 지역은 방울토마토와 수박 등의 집산지"라며 "본격적인 금강살리기 사업이 시작되면 약 1700여 명의 주민들이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집단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특히 "부여 200만 평의 하천부지 가운데 우리 세도면이 162만 9000평에 달하고 있다"며 "그동안 우리 주민들은 하천점용부지에서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이어 왔다. 보상과 생계대책 없이 금강살리기 사업을 전개하면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