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수도권 집중화 정책에 반대하는 지방의 목소리가 내달 2일 서울역에서 결집된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정부의 일방통행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6·10 민주항쟁 22주년 행사들이 이달 중순부터 지속적으로 열릴 예정이어서 지방살리기에 대한 목소리도 한층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칭)균형발전·지방살리기 범국민대회추진위원회는 각종 집회 불허방침을 고수해 왔던 정부와의 줄다리기 끝에 집회 허가를 받아냈다.
지방살리기 범국민대회추진위원회는 당초 이달 말 상경집회를 열 계획이었지만 시기와 장소를 놓고 정부와 마찰을 빚어오다 9일 입장을 관철시켰다.
균형발전정책의 핵심인 행정도시특별법 제정과 행정도시 이전기관 변경고시 문제가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만큼은 대규모 상경집회를 통해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달았다’는 점을 확실히 정부에 각인시킨다는 복안이다.
일단 집회 일정은 확정됐지만 풀어야 할 숙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균형발전정책 추진의 핵심축이었던 지역균형발전협의체(국회의원·광역단체 13+13)가 공동위원장 사퇴와 맞물려 개점휴업 상태에 있고 비수도권 광역단체의 뒷받침도 미흡한 상황이다.
수도권 규제완화 철회와 행정도시 정상 추진을 위한 범충청권협의회는 지난달 중순부터 지속적으로 충청권 3개 광역단체 관계자들과 지방살리기 범국민대회 추진을 위해 논의해 오고 있지만 적극적인 지원 약속을 받아내진 못하고 있다.
범충청권협의회는 11일 충청권 3개 광역단체장과의 면담을 요청해 놓은 상태지만 성사될지도 미지수다.
범충청권협의회 관계자는 “이번 지방의 결집이 6월 국회 일정과 맞물려 지방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고 있다”며 “지방살리기를 염원하는 지역민의 목소리가 한층 더 무게감 있게 전달될 수 있도록 광역단체와 정치권의 참여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해 나갈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정부의 일방통행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6·10 민주항쟁 22주년 행사들이 이달 중순부터 지속적으로 열릴 예정이어서 지방살리기에 대한 목소리도 한층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칭)균형발전·지방살리기 범국민대회추진위원회는 각종 집회 불허방침을 고수해 왔던 정부와의 줄다리기 끝에 집회 허가를 받아냈다.
지방살리기 범국민대회추진위원회는 당초 이달 말 상경집회를 열 계획이었지만 시기와 장소를 놓고 정부와 마찰을 빚어오다 9일 입장을 관철시켰다.
균형발전정책의 핵심인 행정도시특별법 제정과 행정도시 이전기관 변경고시 문제가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만큼은 대규모 상경집회를 통해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달았다’는 점을 확실히 정부에 각인시킨다는 복안이다.
일단 집회 일정은 확정됐지만 풀어야 할 숙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균형발전정책 추진의 핵심축이었던 지역균형발전협의체(국회의원·광역단체 13+13)가 공동위원장 사퇴와 맞물려 개점휴업 상태에 있고 비수도권 광역단체의 뒷받침도 미흡한 상황이다.
수도권 규제완화 철회와 행정도시 정상 추진을 위한 범충청권협의회는 지난달 중순부터 지속적으로 충청권 3개 광역단체 관계자들과 지방살리기 범국민대회 추진을 위해 논의해 오고 있지만 적극적인 지원 약속을 받아내진 못하고 있다.
범충청권협의회는 11일 충청권 3개 광역단체장과의 면담을 요청해 놓은 상태지만 성사될지도 미지수다.
범충청권협의회 관계자는 “이번 지방의 결집이 6월 국회 일정과 맞물려 지방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고 있다”며 “지방살리기를 염원하는 지역민의 목소리가 한층 더 무게감 있게 전달될 수 있도록 광역단체와 정치권의 참여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해 나갈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