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국을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여기저기서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각 대학 교수들이 시국선언을 주도했던 분위기는 대전·충남지역 등 전국의 학계, 정치계, 노동계, 각종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대전·충남지역 11개 대학 216명의 교수들은 9일 충남대에서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전직 대통령의 비극적인 죽음을 맞아 한국사회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며 “정권적 차원의 반성과 국정전반에 대한 정치적 쇄신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 전국적으로 시국선언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9일 대전·충남·충북 지역 교수들이 민주주의가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후퇴하고 있다며 정권차원의 반성과 국정쇄신을 촉구하고 있다.

이성희·김상용 기자 lsh77@cctoday.co.kr ☞동영상 cctoday.co.kr 허만진 영상기자

이어 “현 정부 출범 이후 민주주의의 기본이 되는 시민적 권리들에 대한 정권적 차원의 침해가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이에 결연히 항의한다”며 “기본적인 인권과 민주주의의 원칙, 국가권력의 공정성이 무너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에 따라 △대통령이 직접 노 전 대통령의 불공정 수사에 대한 사죄와 내각 총사퇴를 포함한 국정 쇄신 단행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 보장 △사법부와 검찰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개혁 착수 △비정규직 노동자와 해고자들의 정치적 의사표현의 기회 보장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동당 충남도당과 천안아산경실련 등 충남지역 진보진영도 이날 오전 충남 천안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주의가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후퇴하고 있다”며 정권차원의 반성과 국정쇄신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참가자들은 선언문에서 "전직 대통령이 비극적 죽음을 맞아한 데 대해 한국사회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며 "현 정부가 집권한 이후 어렵게 이뤄놓은 한국의 민주주의는 크게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후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미디어 관련법을 통해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무너뜨리고 집회와 결사의 자유 역시 심각하게 후퇴하고 있다"며 "국가기관의 불공정 게임으로 일반 국민들, 사회적 약자들이 엄청난 피해를 보고 있을지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현 정부는 철저하게 수도권 신봉 정권의 속내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지방무시에 나서고 있다"며 "수도권 집중정책을 철회하고, 국가정책의 일관성·안전성·신뢰성을 위해서라도 행정도시, 혁신도시의 정상추진을 위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8일 충남지역에서 서명을 받기 시작해 하루 만에 1000명이 시국선언 서명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대전지역 의사·한의사·치과의사 등 보건의료인 73명도 이날 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현 시국이 매우 엄중한 위기에 처해 있으며 국민건강과 민주주의도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며 "민주주의에 어긋나는 공안통치를 즉각 중단하고 신자유주의적 보건정책과 입법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성명을 통해 “이명박 정부 이후 22년 전인 1987년 6월의 항쟁 시대로 되돌아간 것 같다”며 “총칼을 앞세운 군사정권에 맞서 목숨과 바꾼 민주주의가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했다.

시당은 “이제는 시민의 광장이 경찰버스로 폐쇄되는 일이 일상화됐고, 남과 북이 총부리를 겨누고 무력충돌을 예삿일처럼 입에 달고 사는 시대가 됐다”며 “독선과 독주, 불통과 탄압, 오만과 편견, 아집과 자만심이 가져올 반민생 반통합의 시대를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천안=전종규 기자 jjg280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