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둔산 5개 중학교와 대덕특구·노은지역 8개 중학교가 지난해 졸업생 10명 중 9명 이상이 인문계고로 무더기 진학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전은 내신성적으로만 합격 여부를 가리는 고입 평준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신·구도심등 거주지에 따라 인문계고 진학률이 최대 40%포인트 가량 편차를 드러내 원인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고입 비평준화 지역인 충남은 시군별 또는 동일 시·군 내에서도 중학교별로 인문계고, 전문계고 진학차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또 아산과 계룡지역 중학생들의 인문계고 진학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신흥 명문 교육도시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충청투데이가 6일 초·중등학교 공시정보시스템인 학교알리미를 통해 대전·충남 272개 중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중3 학년들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올해 4월 기준이다.
그동안 교육당국 차원에서 각 중학교별 고교진학률에 대한 산발적인 조사는 있었으나 언론을 통해 전체 표본 결과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전지역 85개 중학교(지난해 개교한 관평중 제외) 중 지난해 인문계고를 가장 많이 진학시킨 학교는 사립인 서구 삼육중학교로 지난해 98.4%의 인문계고 진학률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전민중(유성) 97.9%, 대덕중(유성) 97.5%, 자운중(유성) 96.8%, 삼천중(서구) 96.2%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구와 유성구 중학교가 대전지역 인문계고 진학률 상위 21위까지 싹쓸이해 신도심권 중학교의 인문계고 진학 독점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밝혀졌다.
서구는 관내 29개 중학교의 72%인 21개교가 80% 이상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인 가운데 갑천, 문정, 삼천, 탄방, 삼육 등 둔산권 5개 중학교는 100%에 가까운 인문계고 진학률을 나타냈다.
또 유성구는 관내 17개 중학교(관평중 제외)의 82%인 14개교가 졸업생 80% 이상의 무더기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였으며, 대덕, 전민, 지족, 자운, 어은, 노은, 동화중등 대덕특구와 노은지구 내 8개 중학교도 100%에 가까운 인문계 진학률로 타 지역과 현격한 격차를 벌였다. 반면 동구와 중구, 대덕구는 각각 한밭여중 76.9%(대전 전체 49위), 글꽃중 84%(27위), 매봉중 86.9%(22위)가 해당 자치구별 인문계고 최고 진학률을 기록한 가운데 대부분 중학교의 인문계고 진학률이 60~70%대에 집중됐다.
이에 따라 전문계고 진학은 동구, 중구, 대덕구가 평균 30% 안팎의 진학률을 기록한 가운데 서구와 유성구는 평균 10%대 안팎에 머물러 대조를 보였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부모와 학생들의 인문계고 선호현상과 경제력, 통학환경 등에 따라 지역간 인문계고 진학률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충남지역 중학생들은 지난해 전체학생의 73%가 인문계고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52개의 중학교가 80% 이상의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였고 연기의 성남중과 태안의 창기중은 지난해 졸업생 100%가 인문계고로 진학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아산이 88.7%의 인문계고 진학률로 도내 시·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계룡(88.3%), 태안(80.4%), 연기(79.9%)가 뒤를 이었다.
반면 논산과 부여는 각각 57.7%와 59.4%의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이며 15개 시·군 중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지난해 가장 많은 수의 중학생 졸업자를 배출한 천안은 71.8%의 학생이 인문계고에 진학했고 학교별로는 병천중(11위)과 천안불당중(25위), 천안쌍용중(41위)이 도내 인문계고 진학률 상위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아산은 무려 11개의 학교가 80%이상의 진학률로 상위 50위권에 이름을 올려 학생과 학부모들의 높은 교육열을 반영했다.
보령의 대천서중(37.2%)과 금산의 복수중(28.6%), 예산의 고덕중(35.9%), 덕산중(16.7%)은 지난해 40%에 못미치는 저조한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특히 대전은 내신성적으로만 합격 여부를 가리는 고입 평준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신·구도심등 거주지에 따라 인문계고 진학률이 최대 40%포인트 가량 편차를 드러내 원인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고입 비평준화 지역인 충남은 시군별 또는 동일 시·군 내에서도 중학교별로 인문계고, 전문계고 진학차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또 아산과 계룡지역 중학생들의 인문계고 진학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신흥 명문 교육도시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충청투데이가 6일 초·중등학교 공시정보시스템인 학교알리미를 통해 대전·충남 272개 중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중3 학년들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올해 4월 기준이다.
그동안 교육당국 차원에서 각 중학교별 고교진학률에 대한 산발적인 조사는 있었으나 언론을 통해 전체 표본 결과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전지역 85개 중학교(지난해 개교한 관평중 제외) 중 지난해 인문계고를 가장 많이 진학시킨 학교는 사립인 서구 삼육중학교로 지난해 98.4%의 인문계고 진학률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전민중(유성) 97.9%, 대덕중(유성) 97.5%, 자운중(유성) 96.8%, 삼천중(서구) 96.2%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구와 유성구 중학교가 대전지역 인문계고 진학률 상위 21위까지 싹쓸이해 신도심권 중학교의 인문계고 진학 독점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밝혀졌다.
서구는 관내 29개 중학교의 72%인 21개교가 80% 이상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인 가운데 갑천, 문정, 삼천, 탄방, 삼육 등 둔산권 5개 중학교는 100%에 가까운 인문계고 진학률을 나타냈다.
또 유성구는 관내 17개 중학교(관평중 제외)의 82%인 14개교가 졸업생 80% 이상의 무더기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였으며, 대덕, 전민, 지족, 자운, 어은, 노은, 동화중등 대덕특구와 노은지구 내 8개 중학교도 100%에 가까운 인문계 진학률로 타 지역과 현격한 격차를 벌였다. 반면 동구와 중구, 대덕구는 각각 한밭여중 76.9%(대전 전체 49위), 글꽃중 84%(27위), 매봉중 86.9%(22위)가 해당 자치구별 인문계고 최고 진학률을 기록한 가운데 대부분 중학교의 인문계고 진학률이 60~70%대에 집중됐다.
이에 따라 전문계고 진학은 동구, 중구, 대덕구가 평균 30% 안팎의 진학률을 기록한 가운데 서구와 유성구는 평균 10%대 안팎에 머물러 대조를 보였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부모와 학생들의 인문계고 선호현상과 경제력, 통학환경 등에 따라 지역간 인문계고 진학률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충남지역 중학생들은 지난해 전체학생의 73%가 인문계고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52개의 중학교가 80% 이상의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였고 연기의 성남중과 태안의 창기중은 지난해 졸업생 100%가 인문계고로 진학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아산이 88.7%의 인문계고 진학률로 도내 시·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계룡(88.3%), 태안(80.4%), 연기(79.9%)가 뒤를 이었다.
반면 논산과 부여는 각각 57.7%와 59.4%의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이며 15개 시·군 중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지난해 가장 많은 수의 중학생 졸업자를 배출한 천안은 71.8%의 학생이 인문계고에 진학했고 학교별로는 병천중(11위)과 천안불당중(25위), 천안쌍용중(41위)이 도내 인문계고 진학률 상위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아산은 무려 11개의 학교가 80%이상의 진학률로 상위 50위권에 이름을 올려 학생과 학부모들의 높은 교육열을 반영했다.
보령의 대천서중(37.2%)과 금산의 복수중(28.6%), 예산의 고덕중(35.9%), 덕산중(16.7%)은 지난해 40%에 못미치는 저조한 인문계고 진학률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