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치쇼에 치중하는 동안 국가를 위해 희생한 국가유공자나 그 가족들은 아직도 고통 속에 살고 있습니다."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정부와 각 지자체가 다양한 이벤트성 보훈행사를 준비하고 있지만 정작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처우개선에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국가안보를 최우선 가치로 내걸었으나 아직도 대전과 충남·북 등 지역 곳곳에서 생활하고 있는 보훈가족들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아직도 한겨울이다.

지난 2002년 6월 한·일 월드컵의 뜨거운 함성 속에 묻힌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 한상국 중사의 부인 김종선(35·사진) 씨가 오랜만에 입을 열었다.

김 씨는 정부의 전사자 처우에 불만을 품고, 지난 2005년 4월 홀연히 미국으로 떠났으나 지난해 다시 귀국해 현재 아르바이트로 생활비를 충당하며,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처우 개선을 위해 활동 중이다.

4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김 씨는 "새로운 안보의식을 부각시키며 집권한 현 정부도 바뀐 것이 별로 없다"며 "매년 6월이 되면 호국보훈의 달로 지칭하며, 중앙이나 지방정부 모두 이벤트성 홍보행사에 몰두하지만 실제 보훈가족이 바라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날 김 씨는 '군인은 명예로 살고, 명예로 죽는다'고 전제한 뒤 "제3연평해전이 우려되는 현 시점에서 국가와 사랑하는 이들을 지키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복무하는 군인들을 위해 국가와 국민이 해줄 수 있는 최소한의 배려는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한국이 4강에 들은 것도 중요하지만 축구 국가대표팀이 받았던 병역 혜택이나 훈장이 2급인 것에 비해 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젊은이들한테 준 것은 3~4급 훈장이 전부"라며 "당시 다쳤던 군인들 중 아직도 훈장을 받지 못한 젊은이도 4명이 넘는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실제 제2연평해전으로 남편이나 자식을 잃은 유가족들에게 정부가 당시 지급한 보상금은 평균 3000만~4000만 원 정도에 그쳤고, 지난 2002년부터 최근까지 김 씨 등 유가족들이 요구하는 △유공자 인정 확대 △침몰한 참수리호의 복원 전시 △훈장 등급의 상향 조정 등은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

김 씨는 "국가를 위해 뜨거운 피를 흘린 젊은이들의 숭고한 희생을 외면해선 안 된다. 순국선열들이 계셨기에 현재 우리가 있는 것"이라며 6월 잊혀진 영웅들을 얘기했다.

한편 '제2연평해전'은 지난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경 서해 연평도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 2척이 이를 저지하기 위해 출동한 참수리 357호 고속정에 기습공격을 가해 발생했으며, 30여 분간의 교전 끝에 윤영하 소령, 한상국 중사 등 6명이 전사하고, 18명이 부상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