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금산군은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사계절 축제가 있고, 전국 최대의 인삼약초시장을 갖춘 곳이다.
군 전체면적의 70% 이상이 산으로 둘러싸인 천혜의 자연환경, 맑고 깨끗한 금강권 문화자원, 역사의 향기가 살아 있는 문화유적 등도 풍부해 관광수요도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금산군은 과거 무마간산 식의 관광에서 탈피해 자연 및 생태관찰, 문화체험 등 가족체류형으로 관광형태가 전환됨에 따라 인삼과 농촌관광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차별화된 웰빙관광상품으로 내방객을 맞는다는 전략이다.
특히 과거 영남권과 수도권으로 점철됐던 관광객을 대전~당진, 공주~서천 고속도로 개통으로 충남 서해안 지역민을 끌어 안을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금산군 관광은 인삼축제를 비롯 주변 사찰, 명승지를 잇는 동선으로 연간 200만~300만 명이 찾고 있다.
더구나 인삼축제로 인해 매년 100만 명 이상이 금산을 찾아 경제 수입도 800억 원 이상 효과를 누리는 만큼 대전~당진, 공주~서천의 고속도로 개통은 이보다 더 많은 관광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대전~통영 간 고속도로 인해 영남권에 방문하는 관광객이 충남 내륙은 물론 서해안지역까지 아우를 수 있기 때문이다.
금산군은 사계절 축제를 중심으로 1년 내내 금산군을 방문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특히 관광객의 증가는 곧 인삼과 약초수요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타 지역에서 생산되는 인삼과 금산인삼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널리 알리는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두 개의 고속도로 개통으로 대전을 찾는 방문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금산군은 이들을 금산까지 30분 더 이동시킬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해법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서해안과 충남내륙지역의 대전방문객들을 대전에서 멈추게 할지, 금산까지 끌어내릴지 여부에 따라 금산의 경제여건 변화는 커질 것으로 분석된다.
금산군은 관공서와 각 단체가 연대해 대전 방문객을 금산까지 불러들이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준비하고 있다.
최장준 기자 this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