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의 총 사업비가 늘어나면서 충북사업의 추가 반영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26일 열린 ‘국무위원 재정전략회의’에서 4대강 살리기 추진전략 및 재원소요에 대해 논의한 결과, 총 사업비를 18조 6000억 원 수준으로 잠정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보고된 당초 사업비 13조 9000억 원보다 4조 7000억 원이 증가한 것이다.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사업비 증가 요인으로 섬진강과 지역숙원사업 포함, 수질개선 사업비 반영, 준설과 보설치 물량 증가 등을 들었다.

이날 국토해양부는 문화부, 농식품부, 환경부 등이 추진하는 4대강 살리기 연계사업은 현재 각 부처가 사업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특히 단기간에 집중되는 재원소요의 분산을 위해 지류 등 시급성이 낮은 사업의 완공기간을 1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또 댐, 조절지 등의 사업은 공기업인 수자원공사가 선투자하는 방법을 검토 중이다.

이처럼 국토해양부가 4대강 살리기 총 사업비를 늘리기로 함에 따라 단양 수중보 등 충북사업의 추가 반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사업비 증가 요인인 지역숙원사업 포함, 준설과 보설치 물량 증가 등이 충북이 추가 반영을 건의한 미호천 하천정비사업의 확대 일환으로 작전보 설치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또 단양 수중보 건설, 지몽골 생태공원 조성사업, 제천 및 괴산지역 사업 등은 지역숙원사업에 해당된다. 특히 제천지역은 건의한 12건의 사업 중 단 1건도 반영되지 않아 지역민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사업 외에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반영되지 않은 나머지 사업의 추가 반영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4대강 살리기에 포함되지 않은 금강권역 사업은 회남지구 생태습지 조성, 대청호 향수 30리길 조성, 옥천지구 친환경 하천정비, 금강변 자전거 도로망 구축, 금강수계 하천정비 등이다.

한강권역의 경우 국가하천 하도준설, 단월지구 하천환경정비, 상습침수지역 배수개선, 기금장천지구 하천제방 축조 등이다.

현재 충북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한강권역은 충주댐과 충주댐 하류 등 9개 사업, 금강권역은 미호천, 대청댐 및 대청댐 하류, 영동천 등 8개 사업이 각각 반영된 상태다.

도 관계자는 “4대강 살리기 총 사업비가 당초보다 늘어남에 따라 충북사업의 추가 반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정부의 마스터플랜이 확정, 발표되기 전까지 추가 반영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