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SSM이 브랜드 파워와 월등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소매유통업에 진출하면서 이른바 동네슈퍼 등 소규모 유통업체의 사업영역과 수요기반을 잠식하고 있다. 실제로 동네슈퍼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매달 400곳씩 문을 닫고 있다.
2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07년 6월 30일 현재 50곳에 불과했던 SSM 수는 불과 1년 6개월 만에 24곳(48%)이나 늘어 동네슈퍼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조사자료에서도 중소유통업체 10곳 중 8곳은 SSM이 들어선 뒤 영업 사정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SSM 입점지 인근의 300개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기업형 SSM 입점이 중소유통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79%가 ‘SSM 입점 후 경기가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중소 유통업체의 하루 평균 매출액은 129만 3000원에서 SSM 입주 이후 85만 2000원으로 34.1%나 떨어졌고, 하루 평균 고객 수도 127.8명에서 80.8명으로 36.7%나 감소했다. 특히 경영악화 사유를 묻는 질문 결과에는 이 같은 상황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응답자의 63.5%는 ‘SSM 입점’을 꼽았고, 27.4%만이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을 들었다. 또 SSM의 입점에 따른 생존전략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68.3%가 ‘특별한 대응책이 없다’고 답했다.
실제 대형 마트의 경우 대전시가 조례를 통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SSM에 대해서는 마땅한 대책이 없는 형편이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와 지자체에 대한 규탄에 머물렀던 중소상인단체들은 기업형 SSM의 확장에 맞서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다. 중소상인단체들은 대전지역 35개 단체 등 전국 500여 개 단체가 참여한 대규모 ‘중소상인 살리기 전국네트워크’를 발족, 정부의 SSM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중소상인 살리기 3대 요구안인 △대형 마트와 SSM에 대한 합리적 규제 △신용카드가맹점 수수료 인하 △폐업 중소상인 실업안전망 구축을 발표하고, 정부와 국회에 관련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중소상인살리기 전국네트워크는 향후 △3대 요구안 범국민 서명운동 돌입 및 국회 청원 △국회의원 및 각 정당에 3대 요구안 공개질의 △각 정당 지도부 면담 △관련 법 개정 및 정책 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개최 △전국 대중 집회 △중소상인 살리기 의원 모임 제안 △언론사 공동 기획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