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전면 실시되는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실적과 시한에 대한 부담으로 희망적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살리기라는 궁극의 목적에 소홀할 수 밖에 없는 파행으로 몰리고 있다.
희망근로 신청접수 1차 마감을 하루 앞둔 21일 현재 지역주민 희망근로 신청접수율은 71.4%를 보였다. 구별 집계현황은 △동구 67% △중구 56% △서구 91.8% △대덕구 75% △유성구 71%의 신청률을 나타냈다.
본격 실시를 1주일 남짓 남겨둔 상황에서 순조로운 출발이라는 희망적인 기대가 조심스럽게 점쳐지는 반면 향후 진행일정에 대한 불안감도 불거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접수율 자체에 대한 실적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연령별 신청 현황은 노인층에 집중돼 있어 또 다른 문제로 부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자치구 연령별 신청의 경우 △10대(15~19) 3명 △20대 38명 △30대 51명 △40대 133명 △50대 128명 △60대 이상 209명의 분포를 보였다.
40대 이상의 비중이 83.6%를 보였고 이 중 60대 이상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시한에 밀려 일자리 사업을 발굴하고 신청자를 접수받는 자치단체의 입장에서 이같은 연령 분포는 또 다른 고민을 양산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가 실시되는 하절기 야외 근로가 집중된 근로 프로젝트 구조로 인해 근무자 안전사고와 근무시간·근무량 조절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이들 노인들의 경우 기존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받던 돈의 배 이상을 받는 희망근로 사업에 앞다퉈 참여신청을 하고 있으나 자치구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일 수만은 없다”며 “노인의 경우 기존 4시간 근로사업에 비해 배 이상 일을 해야 문제를 간과하고 있고 또 이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업무량 조절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결국 지속되는 실업난에 일자리 창출이라는 취지를 안고 출항한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청장년층의 인구를 흡수하지 못하고 노인 용돈벌이로 전락하고 있다는 평가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실상의 이면에는 지역실정을 무시한 정부의 무리한 일방적 정책강행이 있었다는 지적이다.
충분한 논의과정을 거친 실현가능한 대안도출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일정에 떠밀린 사업진행으로 파행을 자초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재정 조기집행 이후 정부 일자리 사업을 위해 지자체가 ‘번갯불에 콩 궈먹고 있다’는 하소연을 토해내고 있다.
지역에서는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희망적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살리기에서 내실있는 가시적 성과 거양을 위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희망근로 신청접수 1차 마감을 하루 앞둔 21일 현재 지역주민 희망근로 신청접수율은 71.4%를 보였다. 구별 집계현황은 △동구 67% △중구 56% △서구 91.8% △대덕구 75% △유성구 71%의 신청률을 나타냈다.
본격 실시를 1주일 남짓 남겨둔 상황에서 순조로운 출발이라는 희망적인 기대가 조심스럽게 점쳐지는 반면 향후 진행일정에 대한 불안감도 불거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접수율 자체에 대한 실적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연령별 신청 현황은 노인층에 집중돼 있어 또 다른 문제로 부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자치구 연령별 신청의 경우 △10대(15~19) 3명 △20대 38명 △30대 51명 △40대 133명 △50대 128명 △60대 이상 209명의 분포를 보였다.
40대 이상의 비중이 83.6%를 보였고 이 중 60대 이상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시한에 밀려 일자리 사업을 발굴하고 신청자를 접수받는 자치단체의 입장에서 이같은 연령 분포는 또 다른 고민을 양산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가 실시되는 하절기 야외 근로가 집중된 근로 프로젝트 구조로 인해 근무자 안전사고와 근무시간·근무량 조절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이들 노인들의 경우 기존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받던 돈의 배 이상을 받는 희망근로 사업에 앞다퉈 참여신청을 하고 있으나 자치구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일 수만은 없다”며 “노인의 경우 기존 4시간 근로사업에 비해 배 이상 일을 해야 문제를 간과하고 있고 또 이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업무량 조절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결국 지속되는 실업난에 일자리 창출이라는 취지를 안고 출항한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청장년층의 인구를 흡수하지 못하고 노인 용돈벌이로 전락하고 있다는 평가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실상의 이면에는 지역실정을 무시한 정부의 무리한 일방적 정책강행이 있었다는 지적이다.
충분한 논의과정을 거친 실현가능한 대안도출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일정에 떠밀린 사업진행으로 파행을 자초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재정 조기집행 이후 정부 일자리 사업을 위해 지자체가 ‘번갯불에 콩 궈먹고 있다’는 하소연을 토해내고 있다.
지역에서는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희망적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살리기에서 내실있는 가시적 성과 거양을 위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