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지역 기초자치단체의 부동산교부세 지역교육지원사업비 결손분과 비례해 일선 학교의 교육여건 또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보 5월 20일자 1면 보도>더욱이 자치단체의 지원실적이 전무에 가까운 대전은 지역교육지원사업 예산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학생들의 학습환경도 타 시·도에 비해 점차 낙후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대전의 5개 구는 지난 2007년 12월부터 4차례에 걸쳐 행정안전부에서 지원된 56억 원에 달하는 초등 영어체험학습센터 구축 예산을 단 한 번도 집행하지 않았다.
1개교에 영어체험학습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은 2억 5000여만 원으로 지원된 예산이 목적에 맞게 사용됐을 경우 관내 22개 이상의 학교에 선진화된 영어학습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대전지역 138개 초등학교 중 현재 영어체험학습센터가 구축된 곳은 60개 학교로 구축율이 50%에도 못 미친다. 충남도내 15개 시·군교육청이 지자체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초등 영어체험학습센터 보급률을 지역별로 70~80% 수준까지 끌어올린 것과 대비되는 수치다.
특히 행안부가 각 지자체별 교육비 집행 실적에 따라 예산을 차등지원하고 있어 대전과 타 시·도의 교육환경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지난해 12월 실적이 있는 지자체에만 차등지원된 영어체험교실 구축 예산을 대전은 16개 시·도 중 유일하게 전혀 받지 못했다.
반면 실적이 높았던 충남은 46억 원이 넘는 추가 예산을 지원받아 더 많은 학교에 영어체험학습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
이 같은 상황은 방과후 보육교실에 있어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전의 5개 구는 지난 2년간 행안부로부터 지원받은 22억 5000여만 원의 보육교실 지원 예산을 재정난의 이유로 자체 예산으로 전환해 사용했다.
이에 따라 일선 초등학교의 방과 후 보육교실은 타 시·도에 비해 환경이 열악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해 급식환경 개선, 종일돌보미 운영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다른 지역은 지자체에서 지원해 준 예산으로 보육교실 개선사업에 투자하고 있는데 대전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지역교육계의 불만 또한 점차 고조되고 있다.
대전 교육계의 한 인사는 “교육도시를 자처하면서도 정작 학생들을 위한 예산을 사용하는 데는 인색한 현실이 안타깝다”며 “교육환경이 열악해 질수록 우수 학생들의 유출도 가속화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대전의 5개 구는 지난 2007년 12월부터 4차례에 걸쳐 행정안전부에서 지원된 56억 원에 달하는 초등 영어체험학습센터 구축 예산을 단 한 번도 집행하지 않았다.
1개교에 영어체험학습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은 2억 5000여만 원으로 지원된 예산이 목적에 맞게 사용됐을 경우 관내 22개 이상의 학교에 선진화된 영어학습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대전지역 138개 초등학교 중 현재 영어체험학습센터가 구축된 곳은 60개 학교로 구축율이 50%에도 못 미친다. 충남도내 15개 시·군교육청이 지자체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초등 영어체험학습센터 보급률을 지역별로 70~80% 수준까지 끌어올린 것과 대비되는 수치다.
특히 행안부가 각 지자체별 교육비 집행 실적에 따라 예산을 차등지원하고 있어 대전과 타 시·도의 교육환경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지난해 12월 실적이 있는 지자체에만 차등지원된 영어체험교실 구축 예산을 대전은 16개 시·도 중 유일하게 전혀 받지 못했다.
반면 실적이 높았던 충남은 46억 원이 넘는 추가 예산을 지원받아 더 많은 학교에 영어체험학습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
이 같은 상황은 방과후 보육교실에 있어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전의 5개 구는 지난 2년간 행안부로부터 지원받은 22억 5000여만 원의 보육교실 지원 예산을 재정난의 이유로 자체 예산으로 전환해 사용했다.
이에 따라 일선 초등학교의 방과 후 보육교실은 타 시·도에 비해 환경이 열악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해 급식환경 개선, 종일돌보미 운영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다른 지역은 지자체에서 지원해 준 예산으로 보육교실 개선사업에 투자하고 있는데 대전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지역교육계의 불만 또한 점차 고조되고 있다.
대전 교육계의 한 인사는 “교육도시를 자처하면서도 정작 학생들을 위한 예산을 사용하는 데는 인색한 현실이 안타깝다”며 “교육환경이 열악해 질수록 우수 학생들의 유출도 가속화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