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중구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일원을 서울 대학로처럼 소극장이 집중되는 지역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시도된다.
20일 대전시는 5년 동안 총 6억 5000만 원을 투입해, 이 지역에 소극장이 집중 형성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먼저 공모를 통해 매년 1~2개의 지원대상(개인 또는 단체, 극단 등)을 선정한 뒤 총 3년 동안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첫 해에는 시설비 및 시설 개선비 7000만 원과 공연활동 지원비를 3000만 원이 지원되고, 2·3년 차에는 시설비 지원 없이 공연활동 지원비만(3000만 원) 지원되는 형태다.
또 사업 2단계에 접어드는 2011년부터는 소극장의 수요가 새롭게 창출되는 지역으로 지원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원도심 지역인 대전 중구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일원에서 소극장을 운영 또는 임대 중인 소유주와 문화예술단체(극단 또는 개인), 소극장을 운영할 예정인 소유주도 지원대상에 포함되며, 희망자는 내달 22일부터 26일까지 대전시청 12층 문화예술과에 방문 접수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공모에 선정되면 대전시와 협약을 맺게 되는데 일정 이상의 작품 및 공연 일수를 채우는 등이 주된 내용이다. 협약이행에 충실하지 않을 경우 지원을 취소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지원신청시엔 건축물이 공연장 용도이거나 용도변경이 가능한 건축물인지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20일 대전시는 5년 동안 총 6억 5000만 원을 투입해, 이 지역에 소극장이 집중 형성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먼저 공모를 통해 매년 1~2개의 지원대상(개인 또는 단체, 극단 등)을 선정한 뒤 총 3년 동안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첫 해에는 시설비 및 시설 개선비 7000만 원과 공연활동 지원비를 3000만 원이 지원되고, 2·3년 차에는 시설비 지원 없이 공연활동 지원비만(3000만 원) 지원되는 형태다.
또 사업 2단계에 접어드는 2011년부터는 소극장의 수요가 새롭게 창출되는 지역으로 지원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원도심 지역인 대전 중구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일원에서 소극장을 운영 또는 임대 중인 소유주와 문화예술단체(극단 또는 개인), 소극장을 운영할 예정인 소유주도 지원대상에 포함되며, 희망자는 내달 22일부터 26일까지 대전시청 12층 문화예술과에 방문 접수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공모에 선정되면 대전시와 협약을 맺게 되는데 일정 이상의 작품 및 공연 일수를 채우는 등이 주된 내용이다. 협약이행에 충실하지 않을 경우 지원을 취소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지원신청시엔 건축물이 공연장 용도이거나 용도변경이 가능한 건축물인지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