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환경운동연합이 충주댐 물을 낙동강 수계로 도수하려는 경북도의 움직임과 관련 김관용 경북지사의 공식사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충주환경운동연합은 20일 오전 10시 경북도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관용 경북지사가 지난달 27일 청와대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에서 밝힌 충주댐 물 낙동강 도수 제안은 매우 잘못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문화와 수계가 다른 곳의 물을 달라고 하면서 충주댐 지역에 상의조차 없이 청와대에 제안한 것은 양식 있는 지도자의 모습이 아니다”라며 “경북지사는 충주댐 지역을 방문해 주민들에게 정중히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또 “운하를 백지화하겠다는 명쾌한 답도 없고 4대강 정비사업이 운하변형사업으로 의심받는 이 때 도수제안은 부적절하다”며 “경부운하 백지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북도가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수치조작과 과장은 부끄러운 일이며 이는 대통령에 대한 무례”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경북도의 주장에 대해 국토해양부에서 발행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 댐건설 장기계획에 2016년 용수공급 부족량을 볼 때 한강권역은 무려 1억 8000만 톤, 낙동강권역은 2100만 톤으로 오히려 한강권역이 낙동강권역에 비해 9배 정도 물이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아울러 “경북도가 허위적인 자료를 만든 이번 경우에서 보듯이 목적을 염두에 두고 정보를 왜곡하는 일은 성공할 수 없다”며 “경북의 주장대로 낙동강 물이 부족한지, 충주댐 물이 남는지 도수 시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등에 대해 검증하자”고 양수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특히 이들은 “산업화 시기 지역 불균형개발에 대한 결과로 발생된 물 문제를 저발전의 대가와 수몰민의 피눈물로 고인 충주댐 물을 도수하겠다는 것은 책임 회피”라며 “경북과 대구, 부산이 낙동강 취수를 포기하겠다는 것을 전제한 충주댐 도수는 수도권과의 마찰을 불러올 것이며 성공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물 부족은 낙동강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물 사용량 제한을 법제화하는데 경북도가 앞장서길 바란다”며 “낙동강 수계의 물 문제를 충북에 돌리고 충북 정치인들은 이에 대응함으로써 지역주의에 근거해 선거에서 득을 보려는 의도가 없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충주환경운동연합은 20일 오전 10시 경북도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관용 경북지사가 지난달 27일 청와대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에서 밝힌 충주댐 물 낙동강 도수 제안은 매우 잘못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문화와 수계가 다른 곳의 물을 달라고 하면서 충주댐 지역에 상의조차 없이 청와대에 제안한 것은 양식 있는 지도자의 모습이 아니다”라며 “경북지사는 충주댐 지역을 방문해 주민들에게 정중히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또 “운하를 백지화하겠다는 명쾌한 답도 없고 4대강 정비사업이 운하변형사업으로 의심받는 이 때 도수제안은 부적절하다”며 “경부운하 백지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북도가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수치조작과 과장은 부끄러운 일이며 이는 대통령에 대한 무례”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경북도의 주장에 대해 국토해양부에서 발행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 댐건설 장기계획에 2016년 용수공급 부족량을 볼 때 한강권역은 무려 1억 8000만 톤, 낙동강권역은 2100만 톤으로 오히려 한강권역이 낙동강권역에 비해 9배 정도 물이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아울러 “경북도가 허위적인 자료를 만든 이번 경우에서 보듯이 목적을 염두에 두고 정보를 왜곡하는 일은 성공할 수 없다”며 “경북의 주장대로 낙동강 물이 부족한지, 충주댐 물이 남는지 도수 시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등에 대해 검증하자”고 양수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특히 이들은 “산업화 시기 지역 불균형개발에 대한 결과로 발생된 물 문제를 저발전의 대가와 수몰민의 피눈물로 고인 충주댐 물을 도수하겠다는 것은 책임 회피”라며 “경북과 대구, 부산이 낙동강 취수를 포기하겠다는 것을 전제한 충주댐 도수는 수도권과의 마찰을 불러올 것이며 성공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물 부족은 낙동강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물 사용량 제한을 법제화하는데 경북도가 앞장서길 바란다”며 “낙동강 수계의 물 문제를 충북에 돌리고 충북 정치인들은 이에 대응함으로써 지역주의에 근거해 선거에서 득을 보려는 의도가 없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