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토해양부가 강원도 양양공항에 항공기정비센터(MRO)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MRO를 유치하려는 충북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충북이 청주국제공항 주변에 MRO를 포함한 항공복합산업단지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토부의 양양공항 지원설이 현실화될 경우 충청권의 반발은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는 생산에 직접 소요되는 물품은 아니지만 설비와 시설물 유지 보수에 필요한 물품을 관리할 수 있는 MRO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 MRO만으로 사업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산발적 입주를 지양하고, 복합산업단지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인근 공군사관학교와 17전투비행단과 연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오창·오송산업단지 등과 클러스터화를 통해 IT·BT와 항공 우주산업이 포함된 항공복합산업단지로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도는 청주공항 인근에 50만 ㎡(1만 5000평) 규모로 항공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총 사업비 1억 원을 들여 지난 2월부터 오는 12월까지 10개월간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국토부가 최근 전국 10개 지방공항 중 최악의 적자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강원도 양양공항에 MRO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국내외 투자기업체를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외 투자업체들이 시장성과 공항 환경 등을 고려해 청주공항을 선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양공항 지원에 들어가려는 것이다.
이는 청주국제공항을 민영화 시범공항으로 선정해놓고 구체적인 지원책조차 밝히지 못하고 있는 국토부 항공정책의 이중적인 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국토부가 강원도 양양공항으로 항공기정비센터를 밀어주려는 움직임이 포착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는 실현 가능성이 매우 낮고 실현돼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한국공항공사 한 관계자는 “전국 지자체가 모두 반대한 민영화를 충북이 수용했지만 타당성 높은 사업으로 평가받던 항공복합산업단지를 타 지역에 빼앗길 우려가 있다”며 “각계각층이 힘을 모아 항공복합산업단지 조성 및 국내외 투자업체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충북도 등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는 생산에 직접 소요되는 물품은 아니지만 설비와 시설물 유지 보수에 필요한 물품을 관리할 수 있는 MRO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 MRO만으로 사업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산발적 입주를 지양하고, 복합산업단지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인근 공군사관학교와 17전투비행단과 연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오창·오송산업단지 등과 클러스터화를 통해 IT·BT와 항공 우주산업이 포함된 항공복합산업단지로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도는 청주공항 인근에 50만 ㎡(1만 5000평) 규모로 항공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총 사업비 1억 원을 들여 지난 2월부터 오는 12월까지 10개월간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국토부가 최근 전국 10개 지방공항 중 최악의 적자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강원도 양양공항에 MRO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국내외 투자기업체를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외 투자업체들이 시장성과 공항 환경 등을 고려해 청주공항을 선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양공항 지원에 들어가려는 것이다.
이는 청주국제공항을 민영화 시범공항으로 선정해놓고 구체적인 지원책조차 밝히지 못하고 있는 국토부 항공정책의 이중적인 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국토부가 강원도 양양공항으로 항공기정비센터를 밀어주려는 움직임이 포착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는 실현 가능성이 매우 낮고 실현돼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한국공항공사 한 관계자는 “전국 지자체가 모두 반대한 민영화를 충북이 수용했지만 타당성 높은 사업으로 평가받던 항공복합산업단지를 타 지역에 빼앗길 우려가 있다”며 “각계각층이 힘을 모아 항공복합산업단지 조성 및 국내외 투자업체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