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안전성 평가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KIT)의 민영화와 관련, 공공연구노동조합이 반발하는 등 이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특히 KIT 민영화 추진계획을 담은 최종보고서가 최근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지고 공청회를 거쳐 내달쯤 산업기술연구회 이사회에서 KIT의 민영화 추진 여부를 승인할 것으로 파악되면서 관련 기관 및 구성원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공공연구노조)은 19일 대전 한국화학연구원 행정동 앞에서 KIT 민영화 저지 및 공공성 강화 투쟁위원회 기자회견 및 출정식을 열고 KIT의 민영화 저지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공공연구노조는 이날 성명을 통해 "KIT 민영화를 갑작스럽고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세계 우수실험실운영기준(GLP)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다"며 "지난 7년간 지원해 성장시켜온 비임상시험 및 안전성평가 분야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KIT 민영화 추진으로 국제 경쟁에서 탈락과 함께 수천억 원대 외화유출의 가속화로 나타날 것”이라며 “결국 정부 스스로 ‘신성장 동력’, ‘녹색성장’의 대표적인 과학기술 분야를 포기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 같은 비판의 목소리가 계속 흘러나오지만 정부는 KIT를 독립법인화한 뒤 연구소 기업형태로 추진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민영화 추진시기가 내년 초일 것이라는 설도 나오고 있다.

KIT 노조 관계자는 “정부가 GLP 시험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KIT의 독립법인화 추진 방향이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성 강화로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며 “신약개발 인프라 강화와 GLP 시험 기술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국내 관련 산업에 대한 기술지원 역할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확대할 것을 주장한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