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속도가 붙고 있는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각계각층 역량 결집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충북과 충남·대전, 강원 전북 등 5개 시·도는 정부의 초광역개발권 4대 벨트에 내륙축의 추가 지정이 확실시 됨에 따라 잇따라 회의를 열고 내륙첨단산업벨트 밑그림을 그려 나가고 있다.

지난달 21일과 22일에는 ‘내륙첨단산업벨트 5개 시·도 합동워크숍’을 통해 내륙벨트의 공식 명칭과 공간적 범위 등에서 합의점을 이끌어내는 성과를 거뒀다.

이날 회의에서 ‘내륙벨트’의 공식 명칭은 내륙첨단산업벨트로 확정했고, 범위는 당초보다 더 확대된 강원(강릉)에서 충북(청주)~대전~충남(공주·논산)~전북(전주·정읍)으로 정해졌다.

이 범위를 각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하면 강릉 의료관광, 원주 의료기기, 제천 한방바이오, 충주 첨단기업도시, 오송·오창 BT·IT·NT, 증평 태양광(신재생에너지) 등이 포함됐다.

또 공주 행정도시, 대전·대덕 R&D 특구, 논산 국방과학클러스터, 전주 방사능융복합산업, 정읍 첨단자동차부품산업 등이다.

내륙첨단산업벨트는 이 같은 미래 성장동력이자 첨단산업을 하나의 테두리 안에 묶어 광역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된다.

이에 공동 추진팀은 앞으로 사업에 대한 의견 교환과 수렴 등을 통해 최종 공동사업계획(안)을 작성하고 5개 시·도지사 공동서명으로 정부에 계획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이처럼 5개 시·도가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초광역개발권 추가 지정 및 사업 추진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정작 지역사회의 관심과 역량 결집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 및 민주당 충북도당 등 정치권은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조속한 추진을 위한 필요한 특별법 제정에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실제 민주당 홍재형 국회의원(청주 상당)이 지난해 발의한 ‘내륙권 발전지원 특별 법안’은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에 있다.

하지만 정치권은 정부에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지도 않은 채 오히려 5월 국회가 열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첨단의료복합단지와 함께 충북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내륙첨단산업벨트 추가 지정에 앞장서기 보다는 직접적인 영향이 적은 세종시 건설에 매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충북도의 경우 실질적인 업무 부서를 제외하고는 내륙첨단산업벨트에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에 충북이 주관 시·도를 맡아 주도적으로 추진에 나서고 있지만, 도민 홍보, 업무 협조 등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초광역개발권에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추가 지정, 관련 특별법 제정, 지역사회 홍보 등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계각층이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도 관계자는 “충북이 주관 시·도를 맡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보다 원활한 추진을 위해 역량을 결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