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의 장기 파행을 참다못한 시민들이 의정비 반납운동 등 본격적인 시민행동에 돌입했다. 한나라당 대전시당도 자칫 시의회 파행이 지속될 경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 따라 금주 중에 의회에 대한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물어 소속 의원들에 대해 윤리위원회에 회부하는 등 극약처방을 내리기로 최후통첩을 내린 상태다. 특히 시의회 파행에 대한 시민 행동과 한나라당의 직접 개입 움직임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의원들에 대한 낙천·낙선 운동과 공천 배제 등으로 이어질 공산이 커 향후 지역 정치권에 파장이 예상된다.

대전지역 12개 시민사회단체들이 참여한 대전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는 18일 대전시의회 앞에서 의정비 반납 시민운동 선포식을 가졌다.

연대회의는 이날 선포식에서 “시민의 대표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시의원들이 시민 혈세로 받은 의정비를 반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양심이 있고 부끄러움을 아는 의원이라면 의회 파행에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대회의가 반납을 요구한 의정비 액수는 시의원 19명이 지난 10개월간의 파행 기간 동안 받아간 8억 7000여만 원이다.

이들은 이어 시의회에 대해 “시민의 대표기관으로서 본분과 사명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며 "내년 지방선거에서 19명 의원 모두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가 18일 대전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장기간 파행을 일삼은 시의원들의 의정비 반납을 촉구하고 있다. 전우용 기자 yongdsc@cctoday.co.kr ☞동영상 cctoday.co.kr 허만진 영상기자

연대회의는 선포식 이후 시의회 앞에 천막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시민운동에 돌입했다. 이들은 19일 시의회를 규탄하는 여성 선언과 1인 시위를 시작으로 교수 선언(20일), 대학생 선언(21일)을 이어가는 한편, 시의회 모의재판과 현수막 게시 운동, 시의회 판공비 공개 운동 등을 전개하기로 했다.

연대회의는 특히 시민 스스로 문제가 있는 의원들을 내년 지방 선거에서 배제시키는 이른바 '유권자 심판 운동'을 벌이기로 해 상당한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시의회 파행에 대해 침묵을 지키던 한나라당도 소속 의원 16명 전원을 소집하고 ‘윤리위원회 회부’ 등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나라당 대전시당은 이날 시당에서 '당협위원장·시의원 비공개 연석회의'를 열고, '확대당직자 회의 후 윤리위를 소집해 징계도 할 수 있다'는 방침을 통보했다.

윤리위 징계를 받을 경우 내년 지방선거 공천에서 사실상 배제되는 것이어서 시의원들에게 엄청난 압박으로 작용될 전망이다.

송병대 시당 위원장은 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의원들의 양식을 믿고 원만히 해결될 것을 기다렸지만 심각한 상황으로 악화됐다"며 “양보하는 사람이 정치적으로 살아남고 그렇지 않으면 다 같이 죽을 것"이라고 시의원들을 압박했다.

송 위원장은 “의회가 정상화되지 않으면 오는 25일경 확대당직자 회의를 열어 시의회 사태에 대한 광범위한 의견 수렴을 거쳐 곧바로 윤리위를 소집해 의원들에 대한 징계 절차에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