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청주점이 24시간 연장운영 방침을 최종 통보함에 따라 충북지역 재래시장·시민사회단체의 대규모 반대집회 및 불매운동이 불가피하게 됐다.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은 18일 오후 청주YWCA에서 제1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홈플러스 청주점의 24시간 영업철회 거부를 강력 규탄하고 “모든 수단을 강구한 전면투쟁”을 결의했다.
박영배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 운영위원장은 이날 “지역 상인들의 대규모 집회와 불매운동 등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홈플러스의 24시간 영업 철회와 상생협약 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경투쟁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에 따라 충북지역 21개 기관·단체로 구성된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은 19일 오후 4시 홈플러스 청주점을 항의방문하고, 오후 5시께 지역 정치권, 지방의회 등이 참여하는 공동 집회를 마련키로 했다.
또 1인 시위와 함께 삼성테스코㈜ 본사와 지자체장 항의방문, 서명운동, 항의현수막 게시, 대규모 집회, 불매운동 등을 전개할 방침이다.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은 이와 병행해 19일 오전 11시 30분 국회에서 출범하는 ‘중소상인살리기 전국네트워크 준비위원회’에 참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과 대형마트의 영업시간 제한조치 등을 위한 전국 차원의 역량도 모아 나가기로 했다.
한나라당 충북도당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홈플러스 측에 간담회를 제안하고 “24시간 연장영업에 대한 철회 요구와 서민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 시민단체 등의 중재노력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집회에 따른 물리적 충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반발집회를 예상한 홈플러스 측이 이미 내달 10일까지 홈플러스 주변에 ‘우리 농산물 사랑 소비결의대회’라는 명목으로 집회신고를 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홈플러스 측은 “24시간 영업은 고객과의 약속이고, 고객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전국 차원에서 실시하는 본사의 방침”이라며 “6월 국회에서 유통산업발전법개정안이 다뤄질 예정으로 결과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연장영업 고수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생경제살리기운동 측은 이에 대해 “가장 효과적으로 홈플러스를 압박할 수 있는 시기와 방법을 고려해 집회 개최 및 장소 등을 확정할 방침”이라며 강도 높은 반대투쟁을 천명했다.
한편, 충북지역 정치권을 비롯한 지자체, 시민사회단체, 상인연합회 등은 지난 13일 홈플러스 청주점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홈플러스의 24시간 영업을 18일 오전까지 철회할 것을 서한으로 전달했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은 18일 오후 청주YWCA에서 제1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홈플러스 청주점의 24시간 영업철회 거부를 강력 규탄하고 “모든 수단을 강구한 전면투쟁”을 결의했다.
박영배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 운영위원장은 이날 “지역 상인들의 대규모 집회와 불매운동 등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홈플러스의 24시간 영업 철회와 상생협약 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경투쟁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에 따라 충북지역 21개 기관·단체로 구성된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은 19일 오후 4시 홈플러스 청주점을 항의방문하고, 오후 5시께 지역 정치권, 지방의회 등이 참여하는 공동 집회를 마련키로 했다.
또 1인 시위와 함께 삼성테스코㈜ 본사와 지자체장 항의방문, 서명운동, 항의현수막 게시, 대규모 집회, 불매운동 등을 전개할 방침이다.
충북민생경제살리기운동은 이와 병행해 19일 오전 11시 30분 국회에서 출범하는 ‘중소상인살리기 전국네트워크 준비위원회’에 참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과 대형마트의 영업시간 제한조치 등을 위한 전국 차원의 역량도 모아 나가기로 했다.
한나라당 충북도당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홈플러스 측에 간담회를 제안하고 “24시간 연장영업에 대한 철회 요구와 서민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 시민단체 등의 중재노력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집회에 따른 물리적 충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반발집회를 예상한 홈플러스 측이 이미 내달 10일까지 홈플러스 주변에 ‘우리 농산물 사랑 소비결의대회’라는 명목으로 집회신고를 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홈플러스 측은 “24시간 영업은 고객과의 약속이고, 고객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전국 차원에서 실시하는 본사의 방침”이라며 “6월 국회에서 유통산업발전법개정안이 다뤄질 예정으로 결과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연장영업 고수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생경제살리기운동 측은 이에 대해 “가장 효과적으로 홈플러스를 압박할 수 있는 시기와 방법을 고려해 집회 개최 및 장소 등을 확정할 방침”이라며 강도 높은 반대투쟁을 천명했다.
한편, 충북지역 정치권을 비롯한 지자체, 시민사회단체, 상인연합회 등은 지난 13일 홈플러스 청주점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홈플러스의 24시간 영업을 18일 오전까지 철회할 것을 서한으로 전달했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