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일부 중소·벤처기업들이 은행의 신규대출 가산금리 적용으로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다.

최근 신규 대출과 만기연장 등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기업들의 목소리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금난으로 잠시 신용도가 떨어진 기업들을 중심으로 가산금리 증가에 따른 하소연은 커지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4월까지 중소기업 금융애로 상담 건수 중 지난 1월 9건에 불과했던 금리조정 관련 상담이 지난달에는 56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이처럼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2%로 떨어졌지만 가산금리는 신용도에 따라 1~2%포인트 오히려 올라 기업인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 책정 때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개인신용도 등을 평가해 덧붙이는 금리를 말한다.

문제는 정부의 기업들 대상 정책자금 지원으로 중소·벤처기업 대출금리가 크게 떨어지면서 일부 기업들이 최근 연 5% 정도의 금리적용을 받고 있지만 자금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신용도가 잠시 떨어진 기업들의 경우 가산금리라는 또 다른 복병을 만나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가산금리 적용을 받은 A기업의 대표는 “이번 정부 정책자금을 대출받았지만 지난해 잠시 대출금이 연체돼 신용도가 떨어져 있다는 이유로 과도한 가산금리를 적용시키는 것은 기업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기술력과 사업성이 있는 기업들을 살리기 위해 정책자금을 풀었으면서도 가산금리 적용 때문에 효과가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정부와 은행권은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기업들에게 가산금리 면제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하나은행을 제외하고 대부분 시중은행들은 기준금리가 하락했지만 가산금리를 올리지 않고서는 역마진이 날 수 밖에 없어 가산금리 적용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의 한 실무담당자는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달리 리스크가 높은데다 금리 체계가 복잡하고 기업마다 금리도 천차만별”이라며 “CD금리 인하와 정부의 저리의 정책자금 등으로 이미 많이 떨어져 수익성을 감안할 때 인하 여력은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