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투싸움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해 식물의회로 전락한 대전시의회가 급기야 의회 개회조차 포기하는 사태로 치닫고 있다.

임시회 개회를 하루 앞둔 11일 비주류 측 의원 10명은 김남욱 의장에 대한 사퇴 촉구와 함께 의장 불신임안을 제출했고, 김 의장은 버티기에 들어갔다.

과반수가 넘는 비주류 측 의원들은 김 의장이 불신임안을 상정하지 않을 경우 등원 거부 등의 배수진을 치고 있어, 김 의장의 심경 변화가 없으면 의회 자체가 사실상 붕괴되는 위기에 빠지게 됐다.

김학원 의원 등 10명의 의원들은 이날 ‘우리의 입장’을 통해 “현재 제기되고 있는 김 의장 사퇴건과 관련, 김 의장의 사퇴만이 대전시의회 정상화의 핵심이라고 판단된다”며 “12일 제182회 임시회 본회의 전까지 김 의장의 조건없는 사퇴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대전시민과 다수의 시의원들이 김 의장의 사퇴를 원하고 있음에도 김 의장이 의장직을 계속 유지한다는 것은 시의회 정상화를 도외시하고 대전시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의장 불신임안 처리 등 차후에 일어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은 김 의장에게 있음을 엄정히 천명한다”며 김 의장의 사퇴를 거듭 촉구했다.

이들은 이어 김 의장에게 의장 불신임 결의안에 찬성하는 의원 명단과 사퇴 촉구서를 전달하고, 의회사무처에 의장 불신임안을 제출했다.

김학원 의원은 “의장을 만나 1년간의 불협화음을 접고 의회가 살아 나갈 수 있는 길은 의장이 모든 짐을 지고 사퇴하는 길 밖에 없다는 것을 간곡하게 호소했다”며 “김 의장이 의장 불신임안을 상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의장 불신임안은 최후의 수단’이라며 “상정이 안 되면 등원을 거부하는 방법도 강구하고 있다. 등원 거부는 의원들이 의장의 리더십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더 이상 의장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김 의장은 “사퇴하면 더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며 사퇴를 거부하고 있다.

김 의장은 “의원 각자가 의견을 개진할 수 있으며 불신임안이 정당하면 수용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지난 본회의에서 의결된 사퇴안 부결을 부정하면 5대 의회는 본회의가 필요 없게 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이어 “본회의 의결을 헌신짝처럼 버려도 되는지 답답하다”면서 “본회의 등원을 거부하는 것은 상식 이하의 행동이며 파행으로 가자는 것”이라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시의회가 장기적인 파행 속에 이 같은 심리전까지 가세하고 있어 김 의장이 사퇴를 거부할 경우 12일 열리는 임시회 본회의는 비주류 측의 불참으로 정상적인 개회는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김 의장의 버티기와 비주류 측 의원들의 장외투쟁이 이어질 경우 임시회에 상정된 시민들의 삶과 직결된 각종 조례 개·제정이 차질을 빚게 돼 의원들의 감투싸움 피해는 결국 시민들이 고스란히 떠안을 수밖에 없게 됐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