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조기 전당대회가 핵심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4·29 재보선 참패 후 당 수습방안으로 마련된 ‘친박계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이 물거품이 되면서 오히려 친이-친박 간 갈등이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친이계와 당 쇄신특위에선 청와대와 불편한 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가 참여하는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 새 지도부를 구성함으로써 계파 간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함께 내일로’의 공동대표인 심재철 의원(경기 안양 동안구을)은 11일 회의를 갖고 “조기 전대가 없는 쇄신안은 의미가 없다”며 “당을 실질적으로 쇄신하고 바꾸려면 조기 전대를 열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박 전 대표도 나와야 되지 않겠냐”고 말해 박 전 대표의 전당대회 참여를 촉구했다.
이 같은 주장과는 달리 친박 측은 조기 전대 주장에 대해 상당한 불쾌감을 표하고 있고, 박희태 대표 역시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조기 전대를 놓고 또 다른 양상의 갈등이 빚어질 공산이 크다.
친박 측은 당내 갈등에 따른 조기 전대 주장과 관련, 친이 측과 기본적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친박 측은 청와대와 당내 주류가 4·29 재보선 패배와 여권 위기를 친박 껴안기로 해결하려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친박계는 또 그동안 나타났던 당내 갈등의 원인을 친이 측이 친박 측으로 전가하고, 이를 포용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 친이 측의 판단으로 보고 있다.
친박 측인 이성헌 제 1사무부총장(서울 서대문갑)도 이날 “지금 조기 전당대회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비오는 날 개구리가 뛰는 격”이라며 “지금 지도부를 바꾼다고 현재 문제가 해결이 되느냐. 문제의 본질은 청와대”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어 “박근혜 전 대표가 대체 무슨 잘못이 있느냐”며 “남경필 의원(경기 수원 팔달)과 정병국 의원(경기 가평 양평)이 지금 조기 전대 이야기를 하지만, 그 분들은 공천학살로 친박 인사들이 줄줄이 잘려나갈 때 한 마디라도 한 적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박희태 대표 역시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조기 전대는 한두 사람이 이야기 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당헌·당규에 따라 해야 한다”며 “지금 경제살리기에 온 국민이 땀을 흘리고 정말 눈물나게 노력하고 있는 데 당권을 놓고 다투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과연 시기적으로 맞냐”고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4·29 재보선 참패 후 당 수습방안으로 마련된 ‘친박계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이 물거품이 되면서 오히려 친이-친박 간 갈등이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친이계와 당 쇄신특위에선 청와대와 불편한 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가 참여하는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 새 지도부를 구성함으로써 계파 간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함께 내일로’의 공동대표인 심재철 의원(경기 안양 동안구을)은 11일 회의를 갖고 “조기 전대가 없는 쇄신안은 의미가 없다”며 “당을 실질적으로 쇄신하고 바꾸려면 조기 전대를 열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박 전 대표도 나와야 되지 않겠냐”고 말해 박 전 대표의 전당대회 참여를 촉구했다.
이 같은 주장과는 달리 친박 측은 조기 전대 주장에 대해 상당한 불쾌감을 표하고 있고, 박희태 대표 역시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조기 전대를 놓고 또 다른 양상의 갈등이 빚어질 공산이 크다.
친박 측은 당내 갈등에 따른 조기 전대 주장과 관련, 친이 측과 기본적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친박 측은 청와대와 당내 주류가 4·29 재보선 패배와 여권 위기를 친박 껴안기로 해결하려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친박계는 또 그동안 나타났던 당내 갈등의 원인을 친이 측이 친박 측으로 전가하고, 이를 포용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 친이 측의 판단으로 보고 있다.
친박 측인 이성헌 제 1사무부총장(서울 서대문갑)도 이날 “지금 조기 전당대회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비오는 날 개구리가 뛰는 격”이라며 “지금 지도부를 바꾼다고 현재 문제가 해결이 되느냐. 문제의 본질은 청와대”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어 “박근혜 전 대표가 대체 무슨 잘못이 있느냐”며 “남경필 의원(경기 수원 팔달)과 정병국 의원(경기 가평 양평)이 지금 조기 전대 이야기를 하지만, 그 분들은 공천학살로 친박 인사들이 줄줄이 잘려나갈 때 한 마디라도 한 적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박희태 대표 역시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조기 전대는 한두 사람이 이야기 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당헌·당규에 따라 해야 한다”며 “지금 경제살리기에 온 국민이 땀을 흘리고 정말 눈물나게 노력하고 있는 데 당권을 놓고 다투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과연 시기적으로 맞냐”고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