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주요 국책사업의 성사 여부가 6월 임시국회 기간 동안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지역 국회의원들을 비롯한 충청 정치권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울러 주요 국책사업들이 정책적인 문제이면서도 정치적 해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책사업 간 우선순위를 선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11일 국회 등에 따르면 충청권 주요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사안은 행정도시 법적지위를 결정할 세종시법 제정, 국가 과학발전 전초지구가 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법 제정, 미래 성장동력으로 부상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선정 등이 있다.
세종시법의 경우 지난 4월 국회에서 여야 간 논란을 벌이면서 큰 틀의 합의는 이뤄진 상황이지만 법 제정까지는 이뤄지지 못했다.
이 때문에 5월 휴회기간 중에도 관련 상임위인 행정안전위원회 소위 소집을 통해 법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 법안 처리를 당론으로 채택한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이 적극적 행보를 통해 6월 임시회에서 ‘제대로 된 세종시법 처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법과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선정은 모두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충청권 입지가 반드시 필요한 사안이다.
다만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경우 행정도시와 연계되기 때문에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자유선진당 정책위의장에 선임된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은 “정부가 행정도시 이전기관 고시를 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법을 처리할 이유는 없다. 행정도시부터 잘 해놓고 이 법을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경우 전국 지자체가 유치전쟁에 돌입한 상황으로 최근 대구·경북지역이 지역 컨소시엄을 조성해 강력하게 유치를 추진 중이다. 때문에 충청권에서 유치를 추진 중인 대전, 충북지역의 연대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충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아울러 주요 국책사업들이 정책적인 문제이면서도 정치적 해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책사업 간 우선순위를 선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11일 국회 등에 따르면 충청권 주요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사안은 행정도시 법적지위를 결정할 세종시법 제정, 국가 과학발전 전초지구가 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법 제정, 미래 성장동력으로 부상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선정 등이 있다.
세종시법의 경우 지난 4월 국회에서 여야 간 논란을 벌이면서 큰 틀의 합의는 이뤄진 상황이지만 법 제정까지는 이뤄지지 못했다.
이 때문에 5월 휴회기간 중에도 관련 상임위인 행정안전위원회 소위 소집을 통해 법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 법안 처리를 당론으로 채택한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이 적극적 행보를 통해 6월 임시회에서 ‘제대로 된 세종시법 처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법과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선정은 모두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충청권 입지가 반드시 필요한 사안이다.
다만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경우 행정도시와 연계되기 때문에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자유선진당 정책위의장에 선임된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은 “정부가 행정도시 이전기관 고시를 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법을 처리할 이유는 없다. 행정도시부터 잘 해놓고 이 법을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경우 전국 지자체가 유치전쟁에 돌입한 상황으로 최근 대구·경북지역이 지역 컨소시엄을 조성해 강력하게 유치를 추진 중이다. 때문에 충청권에서 유치를 추진 중인 대전, 충북지역의 연대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충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