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주택재건축 사업이 경기회복에 대한 불안감으로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속되는 불황과 경기회복에 대한 전망마저 불투명한 상황이 거듭되자 재건축사업 현장이 자체적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가거나 적극적으로 사업성을 재검토하는 등 물밑작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재건축 사업 등 도시주거정비사업은 일부 낙후지역의 도심기능의 회복과 방치된 노후 건축물에 대한 효율적 정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수년 전부터 추진돼 소기의 성과를 거둬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에서 파행을 거듭한 끝에 최근에는 경기침체에까지 밀리면서 논의 자체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11일 대전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총 202개소에 이르는 도시정비사업 중 45.5%인 94개소가 현재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진행 중인 94개소 사업도 시행인가조차 이르지 못한 사업이 86개소(91.4%)여서 본격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곳은 8개소(8.6%)에 불과하다.
도시정비사업은 예정지구 지정→추진위원회 구성→정비구역 지정→조합설립→시행인가→관리처분→공사→준공의 순으로 진행되며 ‘시행인가’가 있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이 진행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사실 기(旣) 추진된 일부 사업지구를 제하고는 이렇다할 추진실적을 보이지 않고 있어 “지역 전반에 걸친 정비사업은 제자리 걸음만 걷고 있는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특히 건설업체의 시공참여가 사업진척의 중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재건축사업은 지난해 말 이후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 주택재건축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36개소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현황은 △추진위 구성(25개소) △구역지정(4) △조합설립(2) △시행인가(2) △공사(1) △준공(2) 등이다.
이들 사업지구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건설·부동산 경기침체와 소비심리 위축 등에 맞물려 진척없이 수개월째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중구 관계자는 “재건축사업의 경우 주민의 의지와 사업성이 사업진행에 중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사업성에 대한 불안감이 해결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강제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안건이 아니기 때문에 진행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지속되는 불황과 경기회복에 대한 전망마저 불투명한 상황이 거듭되자 재건축사업 현장이 자체적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가거나 적극적으로 사업성을 재검토하는 등 물밑작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재건축 사업 등 도시주거정비사업은 일부 낙후지역의 도심기능의 회복과 방치된 노후 건축물에 대한 효율적 정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수년 전부터 추진돼 소기의 성과를 거둬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에서 파행을 거듭한 끝에 최근에는 경기침체에까지 밀리면서 논의 자체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11일 대전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총 202개소에 이르는 도시정비사업 중 45.5%인 94개소가 현재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진행 중인 94개소 사업도 시행인가조차 이르지 못한 사업이 86개소(91.4%)여서 본격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곳은 8개소(8.6%)에 불과하다.
도시정비사업은 예정지구 지정→추진위원회 구성→정비구역 지정→조합설립→시행인가→관리처분→공사→준공의 순으로 진행되며 ‘시행인가’가 있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이 진행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사실 기(旣) 추진된 일부 사업지구를 제하고는 이렇다할 추진실적을 보이지 않고 있어 “지역 전반에 걸친 정비사업은 제자리 걸음만 걷고 있는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특히 건설업체의 시공참여가 사업진척의 중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재건축사업은 지난해 말 이후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 주택재건축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36개소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현황은 △추진위 구성(25개소) △구역지정(4) △조합설립(2) △시행인가(2) △공사(1) △준공(2) 등이다.
이들 사업지구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건설·부동산 경기침체와 소비심리 위축 등에 맞물려 진척없이 수개월째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중구 관계자는 “재건축사업의 경우 주민의 의지와 사업성이 사업진행에 중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사업성에 대한 불안감이 해결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강제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안건이 아니기 때문에 진행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