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댐 물을 낙동강 수계로 도수하려는 경북도의 움직임이 결국 발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는 7일 경북이 충주호 물을 도수하려는 것에 대해 한강권역의 용수 수요량도 부족한 현실에서 이는 있을 수 없는 너무 이기적인 자기 지역 표현이라며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밝혔다.

도가 제시한 정부의 수자원종합계획(2006~2020)과 댐건설장기계획(2007~2011)에 따르면 충주댐이 설치돼 있는 한강권역 용수 수급계획은 2016년 기준으로 용수 수요량이 135억 9600만 톤이다.

반면 용수 공급량은 126억 3000만 톤으로 9억 6600만 톤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특히 도는 국토해양부에서 충주호 상류인 단양지역의 수자원 확보를 위해 819억 원을 들여 수중보를 건설하는데 충주호 물을 낙동강으로 도수하겠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주호 물을 낙동강으로 도수하면 현재 충주호 유·도선을 이용한 연간 80여만 명의 관광객 유치도 불가능해 진다고 주장했다.

도 관계자는 “낙동강 유역의 영주 송리원댐과 영천 보현댐 등 2개 댐 건설이 현실로 다가오자 이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며 “댐 건설을 무마시키기 위해 경북도가 이 같은 발상을 한 것은 지역 이기주의적인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부도 충주호 물을 도수하려는 경북도의 건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민주당 이시종 의원(충주)은 이날 충주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국토해양부에 경북도지사가 건의한 충주댐 물 낙동강수계 도수연결에 대해 현실적으로 추진이 어렵다는 답변을 정부로부터 회신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정부는 경북도의 건의 내용이 환경적인 문제, 지역 간 물 갈등 등으로 현실적 추진이 어렵다는 입장”이라며 “낙동강 물 문제는 낙동강 자체적으로 댐, 준설을 위한 보(洑) 건설 등 다양한 수량 확보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만약 충주댐 물을 낙동강으로 도수해 간다면 단양지역의 유람선 운행이 중지되는 등 관광산업이 무너질 것”이라며 “특히 수도권의 식수·농업용수 공급에도 중대한 차질을 빚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천영준 기자·충주=윤호노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