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7일 친박인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 카드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함에 따라 4·29 재보선 패배에 따른 여권 전열정비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청와대는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며, 박 전 대표 의중 파악에 나섰으나 당혹해 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미국을 방문 중인 박 전 대표는 이날 “당헌·당규를 어겨가면서 그런 식으로 원내대표를 하는 것에 나는 반대”라며 “당이 잘해서 국민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대표가 만나 조율한 여권 쇄신안이 자칫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해 있는 가운데 재보선 이후 제기된 전체적인 여권의 전열정비 역시 상당 부분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친이-친박 간 갈등구조 해소 차원에서 제기된 ‘김무성 원대대표’ 카드가 오히려 양 측간 극심한 분열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 같은 박 전 대표의 입장은 우선 친박 인사 한두 명의 요직 등용으로는 근본적인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다는 시각이 깔려 있다.
친박계 내에선 일부 인사를 고위당직에 앉히는 것으로 친이-친박 간 통합이 될 수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인 만큼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조율한 김무성 원내대표 카드는 청와대의 안일한 시각으로 일축하고 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신뢰회복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요 당직으로 화해를 요청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친박 측의 일반적인 견해다.
이 같은 박 전 대표의 입장과 관련 청와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는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있지만 이번 여권 쇄신이 어렵게 될 경우 향후 국정운영에도 적잖은 어려움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 향후 대책에 골몰하고 있는 분위기다.
당초 청와대는 이번 기회에 친박을 포용하면서 국정 장악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었으나 오히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깊은 불신이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결과를 낳자 난감해 하는 상황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도대체 어떻게 하면 되는 것이냐”라며 “이번 기회를 시작으로 차츰차츰 양 측간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는 데 이를 놓칠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박희태 대표 역시 “당헌·당규까지 들고 나오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좀 기다려주면 신뢰회복 조치도 나올텐 데”라며 아쉬움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특히 청와대는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며, 박 전 대표 의중 파악에 나섰으나 당혹해 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미국을 방문 중인 박 전 대표는 이날 “당헌·당규를 어겨가면서 그런 식으로 원내대표를 하는 것에 나는 반대”라며 “당이 잘해서 국민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대표가 만나 조율한 여권 쇄신안이 자칫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해 있는 가운데 재보선 이후 제기된 전체적인 여권의 전열정비 역시 상당 부분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친이-친박 간 갈등구조 해소 차원에서 제기된 ‘김무성 원대대표’ 카드가 오히려 양 측간 극심한 분열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 같은 박 전 대표의 입장은 우선 친박 인사 한두 명의 요직 등용으로는 근본적인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다는 시각이 깔려 있다.
친박계 내에선 일부 인사를 고위당직에 앉히는 것으로 친이-친박 간 통합이 될 수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인 만큼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조율한 김무성 원내대표 카드는 청와대의 안일한 시각으로 일축하고 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신뢰회복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요 당직으로 화해를 요청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친박 측의 일반적인 견해다.
이 같은 박 전 대표의 입장과 관련 청와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는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있지만 이번 여권 쇄신이 어렵게 될 경우 향후 국정운영에도 적잖은 어려움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 향후 대책에 골몰하고 있는 분위기다.
당초 청와대는 이번 기회에 친박을 포용하면서 국정 장악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었으나 오히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깊은 불신이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결과를 낳자 난감해 하는 상황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도대체 어떻게 하면 되는 것이냐”라며 “이번 기회를 시작으로 차츰차츰 양 측간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는 데 이를 놓칠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박희태 대표 역시 “당헌·당규까지 들고 나오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좀 기다려주면 신뢰회복 조치도 나올텐 데”라며 아쉬움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