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이 세계에서 가장 큰 '북'을 만든다.
군은 세계에서 가장 큰 북으로 세계기네스북에 도전하기 위해 기록문화센터와 8일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한국의 기네스격인 기록문화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영동군이 제작키로 한 큰 '북'은 목재의 재료만도 75t이나 소요, 지름 6m, 폭 6.2m, 무게 3t의 거대한 '북'으로 영동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에서 제작에 착수했다. 이 세계의 북은 제작 완료시점을 난계국악축제가 열리기 직전인 8월 말로 잡고 있으며, 축제 개막식에 맞추어 타북식 을 가질 예정으로 축제홍보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하고 있다.
북 제작을 맡은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은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로 천연 소가죽 50장을 선별 중이고, 북통에 들어가는 길이 130~160㎝ 크기 500~600여 개의 목재는 5년간 자연 건조된 국내산 순수 소나무를 지난달 강원도에서 이미 구입해 분분별 다듬는 작업이 한창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북은 지난 2001년 일본에서 지름 4.8m, 폭4.95m 무게 2t으로 기네스기록을 갖고 있으며, 티베트에서 지난 2006년 12월 지름 5m의 네팔 식(World’s Biggest Drum-Nepali Style) '북'을 소유하고 있다.
이번에 제작하는 영동의 큰 '북'은 지름이 6m에 이르러 기네스월드레코드에 등재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동군이 제작에 성공해 기네스기록이 확정되면 전 세계 117개국 23개 언어로 출판되는 기네스북을 통해 세계적인 '북'의 고장으로 영동의 장소마케팅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이석제(45) 대표는 "생애에 처음 작업하는 일이기 때문에 신나고 흥분된다"며 "가장 관건이었던 목재구입이 쉽게 이뤄져 작업착수가 가능했으며, 국내 최고의 천연 소가죽을 선별해 최대한 늘려 맞추는 작업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동=배은식 기자 dkekal23@cctoday.co.kr
군은 세계에서 가장 큰 북으로 세계기네스북에 도전하기 위해 기록문화센터와 8일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한국의 기네스격인 기록문화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영동군이 제작키로 한 큰 '북'은 목재의 재료만도 75t이나 소요, 지름 6m, 폭 6.2m, 무게 3t의 거대한 '북'으로 영동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에서 제작에 착수했다. 이 세계의 북은 제작 완료시점을 난계국악축제가 열리기 직전인 8월 말로 잡고 있으며, 축제 개막식에 맞추어 타북식 을 가질 예정으로 축제홍보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하고 있다.
북 제작을 맡은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은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로 천연 소가죽 50장을 선별 중이고, 북통에 들어가는 길이 130~160㎝ 크기 500~600여 개의 목재는 5년간 자연 건조된 국내산 순수 소나무를 지난달 강원도에서 이미 구입해 분분별 다듬는 작업이 한창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북은 지난 2001년 일본에서 지름 4.8m, 폭4.95m 무게 2t으로 기네스기록을 갖고 있으며, 티베트에서 지난 2006년 12월 지름 5m의 네팔 식(World’s Biggest Drum-Nepali Style) '북'을 소유하고 있다.
이번에 제작하는 영동의 큰 '북'은 지름이 6m에 이르러 기네스월드레코드에 등재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동군이 제작에 성공해 기네스기록이 확정되면 전 세계 117개국 23개 언어로 출판되는 기네스북을 통해 세계적인 '북'의 고장으로 영동의 장소마케팅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이석제(45) 대표는 "생애에 처음 작업하는 일이기 때문에 신나고 흥분된다"며 "가장 관건이었던 목재구입이 쉽게 이뤄져 작업착수가 가능했으며, 국내 최고의 천연 소가죽을 선별해 최대한 늘려 맞추는 작업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동=배은식 기자 dkekal2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