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에서 최대 수혜자가 됐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올해 정부 추경예산안을 분석한 결과, 대전이 지역현안사업 예산으로 2396억 원을 확보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정목표로 정하고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추경 중 금강 상류인 대전의 3대 하천에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시가 금강 살리기와 연계해 추가 확보한 예산은 187억 원으로, 금강 정비사업 119억 원, 목척교 주변 생태복원사업 50억 원, 하천재해예방사업 6억 원, 슬러지 처리사업 5억 원 등이다.
이에 따라 대전시가 금강 살리기 연계사업으로 확보한 총 예산은 본 예산 122억 원(3대 하천 복원사업 50억 원, 하천재해예방사업 72억 원)을 합해 309억 원에 달한다.
시는 또 3000만 그루 나무심기 일환으로 역점 추진 중인 공공 숲 가꾸기 48억 원과 경제난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희망프로젝트 434억 원을 확보했다.
간선도로의 교통량을 실시간으로 자동 인식해 신호시간과 주기 등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구축사업비 150억 원도 이번 추경을 통해 확보, 교통흐름이 한층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50억 원, 대덕R&D특구 육성사업비 341억 원, 카이스트 583억 원, 원자력연구원 472억원, 기초과학지원연구원 50억 원, 기계연구원 81억 원 등의 예산을 추가 확보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올해 정부 추경예산안을 분석한 결과, 대전이 지역현안사업 예산으로 2396억 원을 확보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정목표로 정하고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추경 중 금강 상류인 대전의 3대 하천에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시가 금강 살리기와 연계해 추가 확보한 예산은 187억 원으로, 금강 정비사업 119억 원, 목척교 주변 생태복원사업 50억 원, 하천재해예방사업 6억 원, 슬러지 처리사업 5억 원 등이다.
이에 따라 대전시가 금강 살리기 연계사업으로 확보한 총 예산은 본 예산 122억 원(3대 하천 복원사업 50억 원, 하천재해예방사업 72억 원)을 합해 309억 원에 달한다.
시는 또 3000만 그루 나무심기 일환으로 역점 추진 중인 공공 숲 가꾸기 48억 원과 경제난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희망프로젝트 434억 원을 확보했다.
간선도로의 교통량을 실시간으로 자동 인식해 신호시간과 주기 등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구축사업비 150억 원도 이번 추경을 통해 확보, 교통흐름이 한층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50억 원, 대덕R&D특구 육성사업비 341억 원, 카이스트 583억 원, 원자력연구원 472억원, 기초과학지원연구원 50억 원, 기계연구원 81억 원 등의 예산을 추가 확보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