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 지역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사업계획이 최종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가운데 지역 건설업체 참여비율을 대폭 확대해 지역건설 활성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최근 4대강 정비사업에 한해 지역업체가 일정비율 이상 공사에 참여토록 의무화한 지역의무공동도급 제도를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이에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국가계약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76억 원 미만의 일반 공사(턴키·대안입찰 제외)의 30% 범위 내에서만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 현행 지역의무공동도급 제도를 개정, 공사 규모와 상관없이 모든 4대강 정비사업에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게 허용했다.

또 현재 30%인 일반 공사의 참여비율을 최소 40%로 높였고, 지역업체의 참여비율이 40% 이상이 될 경우, 매 2%포인트 증가 시(최대 5점) 가점을 부여하는 등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상향 조정한다.

다만 대형 공사에 속하는 턴키공사는 설계비 부담 등의 문제로 지역업체의 참여가 일반공사에 비해 제한적인 점을 고려해 지역업체의 최소 참여비율을 20% 이상으로 적용키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지역 설명회를 통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사업계획에 대한 지역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는 오는 7일부터 19일까지 광주를 시작으로 전남, 전북, 대전 등 순으로 지역 설명회를 개최한다.

지역설명회는 마스터플랜의 중간성과를 설명하고, 지자체, 지역주민,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화와 토론을 통해 지역 의견수렴 및 사업시행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 등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설명회는 정부의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최종 자리라는 점에서 각 지자체별로 사업 반영을 위한 활동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지역 설명회는 여섯 번째로 오는 12일 오전 청주 흥덕구청 회의실에서 개최된다.

이에 앞서, 충북도는 지난달 30일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서 열린 제2회 금강 살리기 지역협의회에 참석해 홍수·수질문제 해결과 친환경 수변공간 조성 등 금강 살리기 사업정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도 관계자는 “지역의무공동도급 제도가 확대 실시되면 지역 건설업체 및 경기 활성화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이 최종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각 지자체들이 지역정서 등을 반영하기 위해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달 안에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확정짓고 7월까지 용역설계 등을 마칠 계획이다. 이어 9월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 2011년 12월 모든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