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법이 통과된 후 주택공사와 토지공사 대전 충남·충북지역본부 직원들은 향후 진행될 통합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역본부 직원들은 국토해양부 1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통합공사 설립출범위원회에서 오는 10월 1일 통합공사 출범 전까지 통합조직도를 어떻게 그려낼지 궁금해하면서도 불가피한 인력조정에 대해선 우려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국회를 통과한 한국토지주택공사법 개정안은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라 주공과 토공의 중복되는 기능을 해결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두 공사를 한국토지주택공사로 통합·정비토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그동안 논란이 됐던 통합공사의 본사 소재지와 직원배치는 국토해양부와 국토해양위가 추후 논의해 결정키로 했다.
국토부는 권도엽 1차관을 위원장으로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통합공사 설립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위원회는 기능 조정, 조직·재무 통합, 사규 제정, 정관작성 등을 맡게 된다.
또 국토부·주공·토공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설립사무국을 운영할 예정이다.
주공과 토공 대전, 충남·북지역본부 직원들은 통합 논의 진행 과정에서의 ‘인적 구조조정’ 문제에 가장 예미하게 반응하고 있다.
통합 이유가 공공기관의 효율성 제고에 있는 만큼, 인적 구조조정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주공, 토공 대전, 충남·북지역본부 세 기관의 현재 직원은 주공 290여 명, 토공 180여 명으로 총 470여 명이다.
게다가 정부는 중대형 아파트 분양사업과 자체 개발사업 일부는 통합 전에 민간에 넘길 계획을 갖고 있어 ‘일감’도 줄어들 전망이다.
두 공기업의 통합 논의를 촉발시킨 핵심 요인인 택지개발·도시재생사업 등 중복사업 또한 조정될 것으로 보여 대전 도안지구개발사업과 행정도시 조성사업, 진천·음성 혁신도시, 충주 첨단산업단지 조성 등은 중앙의 통합작업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토공·주공 지역본부직원들은 “조만간 나올 통합용역 결과가 구조조정의 잣대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공공연히 표하고 있다.
주공 충북본부는 “통합공사는 택지개발에서부터 주택 건축, 도시 조성까지 종합적인 계획수립이 가능해지는 순기능과 택지 개발·주택건설 일원화로 사업기간 단축 및 원가 절감, 주택 분양가 인하 등의 효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진 기자 lionel@cctoday.co.kr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지역본부 직원들은 국토해양부 1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통합공사 설립출범위원회에서 오는 10월 1일 통합공사 출범 전까지 통합조직도를 어떻게 그려낼지 궁금해하면서도 불가피한 인력조정에 대해선 우려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국회를 통과한 한국토지주택공사법 개정안은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라 주공과 토공의 중복되는 기능을 해결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두 공사를 한국토지주택공사로 통합·정비토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그동안 논란이 됐던 통합공사의 본사 소재지와 직원배치는 국토해양부와 국토해양위가 추후 논의해 결정키로 했다.
국토부는 권도엽 1차관을 위원장으로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통합공사 설립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위원회는 기능 조정, 조직·재무 통합, 사규 제정, 정관작성 등을 맡게 된다.
또 국토부·주공·토공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설립사무국을 운영할 예정이다.
주공과 토공 대전, 충남·북지역본부 직원들은 통합 논의 진행 과정에서의 ‘인적 구조조정’ 문제에 가장 예미하게 반응하고 있다.
통합 이유가 공공기관의 효율성 제고에 있는 만큼, 인적 구조조정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주공, 토공 대전, 충남·북지역본부 세 기관의 현재 직원은 주공 290여 명, 토공 180여 명으로 총 470여 명이다.
게다가 정부는 중대형 아파트 분양사업과 자체 개발사업 일부는 통합 전에 민간에 넘길 계획을 갖고 있어 ‘일감’도 줄어들 전망이다.
두 공기업의 통합 논의를 촉발시킨 핵심 요인인 택지개발·도시재생사업 등 중복사업 또한 조정될 것으로 보여 대전 도안지구개발사업과 행정도시 조성사업, 진천·음성 혁신도시, 충주 첨단산업단지 조성 등은 중앙의 통합작업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토공·주공 지역본부직원들은 “조만간 나올 통합용역 결과가 구조조정의 잣대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공공연히 표하고 있다.
주공 충북본부는 “통합공사는 택지개발에서부터 주택 건축, 도시 조성까지 종합적인 계획수립이 가능해지는 순기능과 택지 개발·주택건설 일원화로 사업기간 단축 및 원가 절감, 주택 분양가 인하 등의 효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진 기자 lionel@cctoday.co.kr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