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 자유선진당 등 여야 정치권이 4·29 재보선 이후 당내 문제로 고민에 휩싸이고 있다.

거대 여당인 한나라당은 이번 재보선 참패에 따른 계파 간 문제가 불거지고 있고, 민주당은 무소속으로 당선된 정동영 전 장관의 입당 문제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나라당은 우선 당협위원장 문제가 계파 간 뇌관으로 지적되고 있다.

18대 총선 이후 구성된 당협위원장 임기가 지난달 12일에 만료됨에 따라 법률적으론 전국의 당협위원회가 사실상 ‘유고’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대해 일부 당협위원장들은 지도부에 대해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지만 친이와 친박으로 나뉜 양 계파 간 치열한 신경전이 오가고 있어 지도부 역시 곤혹스런 입장이다.

더구나 당 조직을 이끌고 있는 안경률 사무총장이 재보선 참패에 따라 사의표명을 한 상황이어서 실질적으로 이를 조율하는 데 한계를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한나라당은 당·청 간 소통 부재가 이번 재보선 패배의 원인으로 지목되자 서둘러 진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오는 6일 청와대에서 당·청 간 회동을 갖고 재보선 패배 이후 이반된 민심을 수습하겠다는 것도 조기진화에 나선 이유이다.

이는 각종 정책을 둘러싸고 당·청 간 엇박자가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고, 이번 재보선에서 이에 대한 민심의 심판이 있었던 만큼 이 같은 우려를 잠재우기 위한 전열 재정비 차원으로 해석되고 있다.

4·29 재보선에서 ‘절반의 승리’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고있는 민주당은 정 전 장관의 입당을 놓고 당내 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정 전 장관의 입당을 놓고 당내 주류와 비주류 간 대리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어 이 문제를 놓고 민주당이 또 한차례 홍역을 치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민주당 주류 측은 정 전 장관을 도운 당내 인사들을 윤리위원회에 회부하는 방안을 추진하며, “정 전 장관 복당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비주류 측은 “정 전 장관의 승리는 현 지도부에 대한 심판”이라고 맞서고 있어 집안싸움이 더욱 가열되는 양상이다.

자유선진당은 이번 국회의원 재보선이 치러진 5개 지역 중 경주 1개 지역에서만 후보를 내는 등 전국정당화에 대한 한계를 그대로 드러냈다.

이번 4·29 재보선에 나설 후보 공천마저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심각한 인물난을 겪은 선진당으로서는 충청권을 제외한 지역에서의 당세 확장이 향후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