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성 신임 충남도교육감이 취임과 동시에 학력·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각종 정책들을 연일 쏟아내고 있다. 잔여임기가 1년 1개월여에 불과하지만 교육쇄신에 대한 신임 교육감의 환골탈태 의지가 워낙 강해 벌써부터 변화의 바람을 점치는 시각이 적잖다.
김 교육감은 교육감 취임 후 첫 주말인 3일에는 휴일임에도 도교육청에 나와 본청 실·과장과 장학사들을 배석시킨 가운데 충남교육 진단 대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주제는 도민들의 최대 관심사인 학력신장과 학교폭력 예방등 인성교육.
이에 대해 신임 교육감으로서 의례적인 강행군이란 평가도 있다. 반면 잇단 교육수장 공백으로 느슨해진 기강을 바로 잡고 실추된 충남교육의 명예회복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란 시각도 많다.
일각에선 대학교수 출신(강복환·오제직 전 교육감)이 아닌 일선 학교에서 잔뼈가 굵은 보통교육 출신의 교육감 등극이란 점에서 향후 현장중심과 성과위주의 정책이 충남교육에 접목되지 않겠냐란 관측도 흘러나온다.
김 교육감은 지난달 30일 개최한 기자회견과 1일 열린 취임식 등을 통해 임기동안 추진할 각종 공약과 정책들을 펼쳐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학력신장과 도농격차 해소를 위해 교육감 직속의 평가분석팀을 신설하고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지역대학과 협력, 학생 선택 중심의 방과후학교 운영, 보육·특수교육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학교장 경영평가와 교원평가제 도입 등 평가시스템이 현장에 적극 도입되고 교직원의 책무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
또 학생 인성교육을 위해 학교폭력 제로화 운동과 함께 대안교육센터와 청소년문화센터 설립에 나서겠다고 밝혀 가정과 학교, 교육청을 연계한 인성교육정책이 예상된다.
고교의 특성화·자율화를 추진하고 고입전형의 다양화, 학교장의 교원 자율채용등도 모색하겠다고 밝혀 향후 수요자 중심의 학교 정책과 교원인사 등에 대한 학교장의 재량권 강화가 예상된다.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의무교육과정인 중학교의 학교운영비 폐지와 무료 급식 확대 지원도 시행할 예정이며, 맞벌이 가정을 위한 지역별 탁아소 설립도 적극 추진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교육청과 직속기관, 일선 학교 등에 개혁의 바람이 전망되지만 짧은 임기와 교원단체 등의 반발, 재원마련 등이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김 교육감이 어느 정도의 추진력을 갖고 정책을 추진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김 교육감은 1일 오전 도교육청 대강당에서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장광순 교육위원회 의장 등 400여 교직원들의 축하 속에 취임식을 가졌다. 서이석 기자
김 교육감은 교육감 취임 후 첫 주말인 3일에는 휴일임에도 도교육청에 나와 본청 실·과장과 장학사들을 배석시킨 가운데 충남교육 진단 대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주제는 도민들의 최대 관심사인 학력신장과 학교폭력 예방등 인성교육.
이에 대해 신임 교육감으로서 의례적인 강행군이란 평가도 있다. 반면 잇단 교육수장 공백으로 느슨해진 기강을 바로 잡고 실추된 충남교육의 명예회복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란 시각도 많다.
일각에선 대학교수 출신(강복환·오제직 전 교육감)이 아닌 일선 학교에서 잔뼈가 굵은 보통교육 출신의 교육감 등극이란 점에서 향후 현장중심과 성과위주의 정책이 충남교육에 접목되지 않겠냐란 관측도 흘러나온다.
김 교육감은 지난달 30일 개최한 기자회견과 1일 열린 취임식 등을 통해 임기동안 추진할 각종 공약과 정책들을 펼쳐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학력신장과 도농격차 해소를 위해 교육감 직속의 평가분석팀을 신설하고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지역대학과 협력, 학생 선택 중심의 방과후학교 운영, 보육·특수교육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학교장 경영평가와 교원평가제 도입 등 평가시스템이 현장에 적극 도입되고 교직원의 책무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
또 학생 인성교육을 위해 학교폭력 제로화 운동과 함께 대안교육센터와 청소년문화센터 설립에 나서겠다고 밝혀 가정과 학교, 교육청을 연계한 인성교육정책이 예상된다.
고교의 특성화·자율화를 추진하고 고입전형의 다양화, 학교장의 교원 자율채용등도 모색하겠다고 밝혀 향후 수요자 중심의 학교 정책과 교원인사 등에 대한 학교장의 재량권 강화가 예상된다.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의무교육과정인 중학교의 학교운영비 폐지와 무료 급식 확대 지원도 시행할 예정이며, 맞벌이 가정을 위한 지역별 탁아소 설립도 적극 추진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교육청과 직속기관, 일선 학교 등에 개혁의 바람이 전망되지만 짧은 임기와 교원단체 등의 반발, 재원마련 등이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김 교육감이 어느 정도의 추진력을 갖고 정책을 추진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김 교육감은 1일 오전 도교육청 대강당에서 김신호 대전시교육감, 장광순 교육위원회 의장 등 400여 교직원들의 축하 속에 취임식을 가졌다. 서이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