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는 파견직, 어머니는 일용직, 형은 백수, 동생은 시간제 알바.’

경기불황에 따른 고용위기 속에 ‘근로자의 날’을 맞은 대전지역 근로자들의 마음은 무겁다.

특히 비정규직 신분인 불안정 고용상태의 근로자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살얼음판 같은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다.

대전비정규노동센터 홍춘기<사진> 소장은 30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해고를 통보받는 것이 비정규직의 현실”이라며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전락하는 노동자들이 급격히 늘며 소득 감소에 따른 소비 위축, 내수 부진, 경기침체의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대기업일수록 고임금 구조 때문에 경쟁력이 약화된다며 노동자의 희생을 강요하고, 정부의 고용위기 극복 방안도 단기적인 대책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계청과 한국고용정보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대전의 임금노동자 대비 비정규직 비율은 41.9%로 전국 평균(33.8%)에 비해 8.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전의 비정규직 노동자는 22만 2000명 중 고용보험에 가입된 인원은 9.2%인 2만 423명에 불과, 90% 이상이 법적으로 아무런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대전의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 취업자 비율은 87.2%로 전국 평균(76.5%)을 10.7%포인트 상회, 제조업 비중이 낮고 도소매·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 특성상 고용 불안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대전지방노동청에 따르면 지난 3월 충청권 취업자 수는 231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명 줄은 반면 비경제활동인구는 161만 6000명으로 5만 1000명 늘어 고용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음을 반영했다.

홍 소장은 “대기업 사내 하청업체 노동자 중 상당수는 통계상 정규직으로 분류되지만 원청업체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해 일감이 없으면 언제든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 속에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다.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인턴제 확산 등 단기적 처방보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사진=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