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청원 통합을 놓고 양 지자체가 ‘엇박자 행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통합의 경우가 청원시 승격보다 지역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학계의 연구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충북지방자치학회가 30일 충청대 문예관에서 개최한 ‘지방자치현안 정책토론회’에서 이완영 영동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청주-청원 통합과 청원시 승격의 기대효과를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통합의 효율성이 높다”며 “청원시 승격은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법리적으로나 논리적, 현실적으로도 타당성이 없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청원군민은 이미 청주시의 각종 공공시설 이용 및 경제활동을 통해 공동생활권을 이루고 있다”며 “청원시로 승격한다고 해도 청원군이 갖는 구역구조 때문에 청원시로서의 원만한 기능 수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청원시민의 입장에서도 행정기관 접근성 문제 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청원군의 각종 행정기관 및 관할기관들을 청원시로 이전한다고 할 때 그에 따른 부지조성비, 건축비, 및 시설 이전 비용은 천문학적일 것”이라며 “이를 위한 예산 확보 방안, 기관설립의 입지선정 문제 및 우선순위 등 기관단체간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을지를 고려할 때 청원시 승격은 결코 바람직 한 방향이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특히 “청주, 청원이 통합함으로써 인구, 면적, 재정규모에서 대전·충남권에 비견되는 충북의 거점도시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어, 대전권-청주권-천안권발전의 중심축으로서 중부권 발전을 선도하는 경쟁력 있는 도시로의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
충북지방자치학회가 30일 충청대 문예관에서 개최한 ‘지방자치현안 정책토론회’에서 이완영 영동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청주-청원 통합과 청원시 승격의 기대효과를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통합의 효율성이 높다”며 “청원시 승격은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법리적으로나 논리적, 현실적으로도 타당성이 없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청원군민은 이미 청주시의 각종 공공시설 이용 및 경제활동을 통해 공동생활권을 이루고 있다”며 “청원시로 승격한다고 해도 청원군이 갖는 구역구조 때문에 청원시로서의 원만한 기능 수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청원시민의 입장에서도 행정기관 접근성 문제 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청원군의 각종 행정기관 및 관할기관들을 청원시로 이전한다고 할 때 그에 따른 부지조성비, 건축비, 및 시설 이전 비용은 천문학적일 것”이라며 “이를 위한 예산 확보 방안, 기관설립의 입지선정 문제 및 우선순위 등 기관단체간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을지를 고려할 때 청원시 승격은 결코 바람직 한 방향이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특히 “청주, 청원이 통합함으로써 인구, 면적, 재정규모에서 대전·충남권에 비견되는 충북의 거점도시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어, 대전권-청주권-천안권발전의 중심축으로서 중부권 발전을 선도하는 경쟁력 있는 도시로의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