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신용회복 중이지만 금융권 대출을 받지 못하는 서민들을 위해 전국 최초로 도입한 무지개론이 상종가를 치고 있다.

29일 시에 따르면 무지개론이 지난 1월 사업을 시작한 이후 4개월 만에 당초 예산 10억 원 모두가 소진됐다.

이 기간 동안 모두 348명에게 평균 287만 3000원이 지원됐으며, 전체 10억 원 중 생활안정자금이 8억 8662만 원(31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차보증금 1억 2173만 원(26명), 의료비 3330만 원(9명), 결혼자금 2610만 원(9명), 학자금 8413만 원(26명), 고금리환차금 2124만 원(6명), 소상공인 운영자금 800만 원(2명) 등의 순으로 지원됐다.

무지개론에 긴급자금을 신청한 348명의 1인당 평균 소득은 153만 원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181명으로 여자(116명)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97명)와 40대(95명)가 전체의 65%를 차지했고, 직업별로는 회사원(112명)과 일용직(101명)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자체가 지역주민을 위한 서민금융을 운영한 첫 사례로 알려지면서 무지개론에 대한 전국적인 벤치마킹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대전시는 예산이 모두 소진됨에 따라 원금회수분(29일 현재 3600만 원)과 신용회복위원회 자금 등으로 소액 대출 지원을 계속 운영하고, 올 하반기 추경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