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나누기운동의 일환으로 충북지역 공기업에 채용된 인턴 및 계약직 직원들이 실효성 없는 단순 업무와 짧은 채용기간으로 인해 중도하차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역 공기업들의 인턴직 채용 기간은 길어야 10개월, 짧게는 10주에 그치는 등 실질고용으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아르바이트 역할을 넘지 못하고 있다.

29일 A공사에 따르면 일자리 나누기의 일환으로 지난 연말부터 8명의 계약직 직원을 채용했으나 현재까지 모두 3명이 사직했다.

이들 중 2명은 취업으로 나갔으며, 1명은 공무원 공부를 위해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로 인해 공사는 2명의 계약직을 다시 채용했다.

A공사는 애초 3개월에 한 번씩 재계약을 통해 인력이 필요한 부서로 재배치를 하는 등 업무 자체가 단순 사무보조 업무에 지나지 않아 사직 및 이직률이 높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A공사는 다시 2년 단위의 계약직을 채용하라는 방침을 수정해 내려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한 계약직 여직원은 “3개월에 한 번씩 인력을 원하는 부서로 자리를 옮기고 있는 실정으로 단순 업무을 하면서 메뚜기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6명의 인턴직을 채용한 B공기업의 경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들의 계약기간은 6개월. 인턴으로 취업해 전문성을 쌓을 수 있는 경력개발의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 아닌 단순 취업에 그치고 있다.

장기적인 고용창출이 아니라 단기 채용이라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고 있다.

이에 따라 정규직 채용이 아닌 인턴사원 확대로 ‘잡셰어링’이 오히려 고용 불안정을 부추기고 있다는 부정적 인식도 확산되고 있다.

반면, 전문성을 쌓을 수 있는 경력개발의 기회를 재공해 성공한 케이스도 있다.

충북신용보증재단의 경우 올 초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자금 지원 정책이 쏟아져 나오면서 과중한 업무로 인해 인턴직 11명 채용했다.

이에 충북신보는 은행 업무 경력이 6개월 이상 있는 계약직 직원을 채용해 업무해소에 큰 도움을 받고 있다.

하지만 올 말까지 계약된 이들의 계약만료 이후 취업 보장은 없어 이 또한 생계유지 취업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A공사 관계자는 “인턴 중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경우는 전무하다. 대학을 졸업한 후 실직자가 되기 싫어 하고 싶은 일과 상관없이 인턴 채용에 응시하고 붙으면 아무 생각없이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업무에 도움을 받지 못해 부서별로 돌아가며 단순업무 처리를 하고 있어 얼마 견디지 못하고 이직 및 사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영덕 기자 ydcho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