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시의회는 28일 제181회 임시회를 열어 지난해 7월 후반기 의장단 선출이후 지속된 10개월 여의 파행에 마침표를 찍겠다는 취지로 김남욱 의장의 사직서 승인의 건을 처리할 예정이었다. 아울러 후임의장 선출의 건과 최근 여성 2명·전직 시의원을 대동한 부적절한 연찬회 파문을 일으킨 산업건설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윤리특별위원회 회부의 건을 처리키로 했다.
그러나 임시회 개회 직후 양승근 의원(동구 3)이 김 의장의 사직서 승인의 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면서 의회 화합차원에서 사퇴의사를 밝혔던 김 의장의 사직서 승인의 건이 부결되는 초유의 사태를 맞이했다.
양 의원은 의사발언을 통해 "의장 사직서는 합의추대를 전제로 제출된 것이지만 의원들이 합의 추대없이 대립과 갈등만 반복하고 있다"며 “합의 추대가 없다면 의장 사직의 의미가 없는 만큼, 무기명 투표로 찬반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의원의 이의제기로 실시된 김 의장의 사직서 처리에 대한 투표 결과 총 19명의 의원 중 18명이 참석해 찬성 9표, 반대 7표, 무효 2표로 출석 의원의 과반수 찬성을 얻지 못해 사직서 승인의 건은 부결됐다.
이에 따라 김 의장의 사직서 승인 건을 처리한 후 진행할 예정이었던 후임 의장에 대한 선출은 무위로 돌아갔으며, 김 의장은 의장직을 계속 수행하게 됐다.
이날 벌어진 예상치 못한 사태로 인해 의회 정상화에 대한 시민들의 바람은 물거품이 됐고, 주류와 비주류 의원 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져 극한 대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직서 승인 건이 부결되자 일부 의원들은 “득표에 따른 부결 처리에 문제가 있다”며 임시의장을 맡았던 송재용 부의장에게 거세게 항의하면서 큰 소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김남욱 의장은 “예상하지 못한 결과이기 때문에 입장이 정리되지 않았다”며 “조만간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시의회의 이번 사태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맹비난을 쏟아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이날 성명을 통해 “시의회 의장 사퇴는 150만 대전시민을 기만한 정치쇼로 끝났다”며 “시민들을 기만한 시의원 전원은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대회의는 또 “대전시의회의 ‘갈지(之)자’ 행보는 의회에 대한 불신을 넘어 풀뿌리 민주주의의 무용론을 확산시키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만일 시의원들이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스스로 물러나지 않는다면 상식 이하의 행동을 의정활동으로 포장하는 지방의원이 다시는 시의회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대전 시민과 함께 공동 행동에 돌입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