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공직사회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대규모 암행 감찰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충북에서도 일부 공무원이 시간외 수당을 불법 수령하려다 적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지난 달 25일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600여 명에 달하는 ‘암행 감찰반’을 운영해 공무원의 비위행위 단속에 들어갔다.
이는 일부 지자체에서 공무원들이 밤 늦게까지 근무한 것처럼 허위로 퇴근 기록을 남겨 시간외 근무수당을 신청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암행감찰반은 지난 22일 충북도청을 방문해 공무원 출·퇴근 카드를 불시 점검, 모두 5명을 적발했다.
이날 감찰반은 이들로부터 사실 확인서를 제출받고 현재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충북도는 물론 청주시 공무원들의 지난 3월 분 초과근무 관련 서류를 제출받아 현재 확인 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도 관계자는 “행안부에서 감찰이 나온 것은 맞다”며 “그러나 감찰 자체를 행안부에서 실시해 몇 명의 공무원이 어떤 사유로 적발됐는지 확인해 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적발 사항이 사실로 확인되면 행안부에서 회수조치 또는 징계 등을 결정해 통보해 줄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한편 행안부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부당한 방법으로 시간외 근무 수당을 수령한 사실이 적발된 공무원에 대해 지난해 12월 31일 개정된 지방공무원법을 엄격히 적용, 부당 수령액의 3배까지 환수토록 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지난 달 25일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600여 명에 달하는 ‘암행 감찰반’을 운영해 공무원의 비위행위 단속에 들어갔다.
이는 일부 지자체에서 공무원들이 밤 늦게까지 근무한 것처럼 허위로 퇴근 기록을 남겨 시간외 근무수당을 신청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암행감찰반은 지난 22일 충북도청을 방문해 공무원 출·퇴근 카드를 불시 점검, 모두 5명을 적발했다.
이날 감찰반은 이들로부터 사실 확인서를 제출받고 현재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충북도는 물론 청주시 공무원들의 지난 3월 분 초과근무 관련 서류를 제출받아 현재 확인 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도 관계자는 “행안부에서 감찰이 나온 것은 맞다”며 “그러나 감찰 자체를 행안부에서 실시해 몇 명의 공무원이 어떤 사유로 적발됐는지 확인해 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적발 사항이 사실로 확인되면 행안부에서 회수조치 또는 징계 등을 결정해 통보해 줄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한편 행안부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부당한 방법으로 시간외 근무 수당을 수령한 사실이 적발된 공무원에 대해 지난해 12월 31일 개정된 지방공무원법을 엄격히 적용, 부당 수령액의 3배까지 환수토록 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