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내 벤처기업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간의 기술이전 네트워크가 아직 형성되지 않고 있다.
27일 대덕특구 벤처기업인들에 따르면 기업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기술을 출연연에서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은데다 설령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부담스러운 착수기술료 탓에 기술이전을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
이 같은 벤처기업들의 하소연은 2007년 국회 과기정위의 국정감사에서 A출연연이 내놓은 기술 22개 가운데 상용화된 것은 4건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지는 등 기술사업화가 극히 부진하다는 인식에서 기인한다.
벤처기업인들은 기술을 처음 사올 때 지불하는 착수기술료를 낮추고, 기술이 사업화됐을 때 벌어들이는 비용인 러닝로열티를 높이는 방법을 택해 기업들이 사업화에 따르는 부담을 최소화해 줄것을 요구하고 있다.
착수 기술료는 통상 수십만 원에서 수십억 원까지 기술평가 가치에 따라 천차만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업들은 정부의 중소기업육성정책에 따라 착수기본료의 50%를 감액해주고 있지만 상용화되는 확률에 비해서는 큰 비용지출이라는 게 기업인들의 주장이다.
대덕특구 내 벤처기업 대표 A 씨는 “대덕특구가 기술사업화를 위해 전력투구를 하고 있다고 하지만 산과 연이 상생할 수 있는 기술이전 사업 부분이 매우 취약하다”며 “기술료 전체를 낮추지 못한다 할지라도 착수기본료와 러닝로열티의 비율 조정을 통해 기업인들이 기술과 가까워지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인들은 또 어렵게 기술이전을 도입했어도 기술 상용화까지 가는데 어려움이 많은 만큼 제도적으로 기술사업화를 위한 시스템 마련이 도입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기업대표 B 씨는 “정부출연기관 출신의 기업인들조차도 출연연이 시장에 내놓은 기술이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는 등 기술사업화에 취약함을 노출하고 있다”며 “한국정보통신연구원(ETRI)에서 시행하고 있는 연구원 파견제와 같이 출연연 개발 연구원이 기업과 공동으로 개발을 끝내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실질적인 기술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출연연들은 착수기술료를 낮추는 부분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하는 분위기다.
출연연 관계자는 “착수기술료를 낮추고 러닝로열티를 높이게 되면 출연기관에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사를 나서야 하는데 여러 가지 걸림돌이 작용한다”며 “대덕특구 기술사업화를 위해 출연기관들도 기업들과 상생한다는데 목적을 같이 하는 만큼 다양한 의견들을 나누며 가장 좋은 합일점을 찾아 나서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27일 대덕특구 벤처기업인들에 따르면 기업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기술을 출연연에서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은데다 설령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부담스러운 착수기술료 탓에 기술이전을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
이 같은 벤처기업들의 하소연은 2007년 국회 과기정위의 국정감사에서 A출연연이 내놓은 기술 22개 가운데 상용화된 것은 4건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지는 등 기술사업화가 극히 부진하다는 인식에서 기인한다.
벤처기업인들은 기술을 처음 사올 때 지불하는 착수기술료를 낮추고, 기술이 사업화됐을 때 벌어들이는 비용인 러닝로열티를 높이는 방법을 택해 기업들이 사업화에 따르는 부담을 최소화해 줄것을 요구하고 있다.
착수 기술료는 통상 수십만 원에서 수십억 원까지 기술평가 가치에 따라 천차만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업들은 정부의 중소기업육성정책에 따라 착수기본료의 50%를 감액해주고 있지만 상용화되는 확률에 비해서는 큰 비용지출이라는 게 기업인들의 주장이다.
대덕특구 내 벤처기업 대표 A 씨는 “대덕특구가 기술사업화를 위해 전력투구를 하고 있다고 하지만 산과 연이 상생할 수 있는 기술이전 사업 부분이 매우 취약하다”며 “기술료 전체를 낮추지 못한다 할지라도 착수기본료와 러닝로열티의 비율 조정을 통해 기업인들이 기술과 가까워지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인들은 또 어렵게 기술이전을 도입했어도 기술 상용화까지 가는데 어려움이 많은 만큼 제도적으로 기술사업화를 위한 시스템 마련이 도입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기업대표 B 씨는 “정부출연기관 출신의 기업인들조차도 출연연이 시장에 내놓은 기술이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는 등 기술사업화에 취약함을 노출하고 있다”며 “한국정보통신연구원(ETRI)에서 시행하고 있는 연구원 파견제와 같이 출연연 개발 연구원이 기업과 공동으로 개발을 끝내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실질적인 기술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출연연들은 착수기술료를 낮추는 부분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하는 분위기다.
출연연 관계자는 “착수기술료를 낮추고 러닝로열티를 높이게 되면 출연기관에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사를 나서야 하는데 여러 가지 걸림돌이 작용한다”며 “대덕특구 기술사업화를 위해 출연기관들도 기업들과 상생한다는데 목적을 같이 하는 만큼 다양한 의견들을 나누며 가장 좋은 합일점을 찾아 나서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