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낙동강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주댐의 남한강 물을 끌어오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한 것과 관련해 충북도와 충주호 수계 주민 등이 반대 입장을 보였다.
도 관계자는 27일 “낙동강의 용수 확충을 위해 충주댐의 남한강 물을 도수로를 통해 끌어가는 방안은 받아 들일 수 있는 사항이 아니며, 현재 충주댐의 수량도 충분하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도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지만 낙동강의 부족한 물을 채우기 위해 충주댐에 도수로를 뚫는 것은 반대한다는 것이다.
또 이 관계자는 “낙동강의 부족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댐 확충 계획이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를 통해 용수조절과 수질확보를 할 수 있는데 충주댐 물을 굳이 끌어가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충주호 수계 주민들과 시민단체들도 이를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제천은 지난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생긴 충주호 담수면적의 64%를 차지할 만큼 맑은 물 공급에 절대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수자원 개발제한 등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데 관광의 보루인 물을 가져간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말했다.
주민 김 모(45) 씨는 “정부가 운하를 재추진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며 “환경문제를 넘어 한강과 낙동강 지역의 주민들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고 말 것”이라고 반대했다.
이날 청와대 보고대회에 직접 참석한 김호복 충주시장은 “지금은 건의단계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그 사업이 갖는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천영준 기자·충주=윤호노 기자
도 관계자는 27일 “낙동강의 용수 확충을 위해 충주댐의 남한강 물을 도수로를 통해 끌어가는 방안은 받아 들일 수 있는 사항이 아니며, 현재 충주댐의 수량도 충분하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도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지만 낙동강의 부족한 물을 채우기 위해 충주댐에 도수로를 뚫는 것은 반대한다는 것이다.
또 이 관계자는 “낙동강의 부족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댐 확충 계획이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를 통해 용수조절과 수질확보를 할 수 있는데 충주댐 물을 굳이 끌어가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충주호 수계 주민들과 시민단체들도 이를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제천은 지난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생긴 충주호 담수면적의 64%를 차지할 만큼 맑은 물 공급에 절대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수자원 개발제한 등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데 관광의 보루인 물을 가져간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말했다.
주민 김 모(45) 씨는 “정부가 운하를 재추진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며 “환경문제를 넘어 한강과 낙동강 지역의 주민들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고 말 것”이라고 반대했다.
이날 청와대 보고대회에 직접 참석한 김호복 충주시장은 “지금은 건의단계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그 사업이 갖는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천영준 기자·충주=윤호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