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과학공원을 재창조하기 위한 용역이 발주된지 3개월이 지났지만 밑그림조차 그려지지 않고 있다.

내부 논의가 늦어지면서 당초 이달 안에 계획됐던 2차례의 공청회조차 다음으로 미뤄졌다.

5개월에 걸친 용역이 오는 6월로 종료되는 만큼 남은 한 달여 동안 과연 충실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관련기사 3면

22일 대전시에 따르면 디이파트너스에 의뢰한 ‘엑스포재창조 기본구상 및 민자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사업비 1억 3100만 원)’이 진행 중이며, 오는 6월 18일까지 사업환경 및 상권분석, 사업성 검토 및 결론, 민간사업자 공모지침서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이르면 6월 말부터 3개월여 동안 민간사업자를 공모한 뒤 내년부터 2012년 말까지 재창조를 마무리짓는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시는 재창조 용역 과정을 철저한 비밀에 부치고 있다.

△3개월째 용역, ‘며느리도 몰라’ = 당초 시민공감대 확보를 위해 실시하려 했던 세미나와 이달 중 두 차례에 걸쳐 계획했던 중간보고회 형식의 공청회도 열지 않고 있는 것.

시는 이에 대해 “용역은 정상대로 진행 중이고 민감한 사항이기 때문에 내부 논의는 진행 중이지만 공개할 수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우선 앞서 지난해 진행했던 관리방안 용역에서 제시된 필수 존치시설의 경우도 현재로서는 어느 것 하나 담보할 수 없다는 게 시의 구상이다. 관리방안 용역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기숙사로 운영되고 있는 누리관과 내년 개관 예정인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대전영상특수효과타운, 첨단과학관(옛 정부관), 자기부상열차 등 5개를 필수 존치시설로 제시했다. 여기에 돔영상관과 시뮬레이션관, 아이맥스관(옛 지구관) 등 3개 가상체험시설을 포함, 8개를 최소 존치시설로 봤다.

하지만 현재로서 시는 이들 중 상징성과 기능성, 노후도 등을 고려할 뿐 용역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어느 것을 남겨놓을 지는 용역 결과를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드라마타운과 연계 = 시는 다만 국비사업으로 1500억 원 이상이 투입될 HD드라마 타운과 연계한 재창조를 염두해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문화관광부가 요구하는 드라마타운 부지 면적이 23만 ㎡로 엑스포부지 전체 면적(56만 ㎡)의 절반에 육박해 전체적인 재창조 그림을 그리는데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데 있다.

시가 현재 진행 중인 재창조 용역을 섣불리 공개하지 못하는 이유도 바로 이와 관련한 부처 협의가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 손해배상액이 수 백억 원대로 예상되는 꿈돌이랜드와의 문제도 민간한 부분이다. 드라마타운 추진 부서는 꿈돌이랜드의 철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난관은 이번 용역이 민간사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어떤 당근을 줄 수 있느냐이다. 시는 상업용지 전환은 최대 30% 선에서 못을 박은 뒤 단체 숙박시설 등을 분양할 경우 일정 부분 사업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