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남도는 그동안 아동복지정책이 보호를 필요로 하는 시설아동 및 소년소녀가장의 생계구호 차원에서 추진됐으나 ‘먹고 사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됐다고 판단하고, 앞으로는 이들이 성인이 됐을 때 직장과 소득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키로 했다. ▶관련기사 3면
먹고 사는 문제에만 매달릴 경우 가난의 대물림을 온전히 해소할 수 없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따라서 저소득층 아동들이 균등한 교육기회를 통해 올바로 성장하고, 새로운 직장을 구해 자립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게 충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아동 희망 프로젝트’이다.
충남도에 거주하는 아동 수는 2008년 12월 말 현재 42만 9442명. 이 가운데 9.3%인 3만 9982명이 저소득층 아동이다. 충남도는 이들 저소득층 아동의 가난 대물림 방지를 위해 아동의 △생활안정 △학습지원 △안전 및 권리증진 △아동 정책 추진 체계 구축 등 4개분야, 53개 과제를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13년까지 2010억 원(국비 390억 원, 도비 601억 원, 시·군비 1004억 원 등)을 투입, ‘아동 희망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충남도는 이미 ‘아동 희망 프로젝트’ 추진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29일 농협·충청하나은행·SC제일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국민은행·기업은행 등 금융기관과 라이온스·로타리·JC 등 민간사회단체와 MOU를 체결해 시력보존 무료 시술, 장학금·교복 구입비·급식비 지원, 도서 구입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이를 지속적이고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 2월 17일 ‘충남도 저소득층 아동 지원 조례’를 제정·공포하는 등 차별화된 도정시책 추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처럼 자치단체가 저소득층 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조례를 제정한 것은 충남도가 전국에서 처음이다.
이완구 지사는 “4만여 명에 달하는 소외계층 아이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는 사업이기에 아동 희망 프로젝트는 그 어떤 사업보다 소중하다. 사회봉사단체와 금융기관이 함께해 더욱 의미 있는 사업”이라고 전제하고 "훗날 가장 보람된 일이 어떤 일이었냐고 물었을 때 아이들에게 희망을 선사한 것이라고 답할 수 있도록 혼신을 다하겠다”며 사업 추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