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을 비롯한 전국 현대·기아차 가맹 정비업체가 국내 자동차 부품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현대모비스㈜의 불공정 행위로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1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2월 18일부터 3월 25일까지 충청권 25개 업체를 포함해 전국 현대·기아차 가맹 정비업체 231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경쟁부품 판매 금지 △불합리한 가격 책정 △일방적 계약해지 등 현대모비스의 불공정 거래행위로 많은 애로를 겪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현대·기아차 보증수리 시 매뉴얼상 현대모비스 부품 '강제 사용'이 명시돼 있다고 응답한 업체가 95.7%, 타 사 부품을 사용할 경우 비용정산 시 ‘감액’된다는 업체가 68.4%로 조사됐다.
또 현대모비스 순정품 가격은 경쟁사 제품에 비해 평균 1.75배(최대 4.2배) 비싼 데 이에 대해 75.8%의 업체는 ‘불합리’하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정비업계에 대한 현대모비스의 이 같은 불공정 행위가 부품대리점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이뤄져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5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고, 수입부품을 순정품으로 둔갑시켜 소비자가격을 올리는 등 부당폭리를 취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자동차부품 정비업계는 2007년 4월과 지난해 8월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집회를 갖고 현대모비스에 불공정 행위 중단을 촉구했으나 아직까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중앙회는 현대모비스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비정상적인 유통구조를 바로 잡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 '자동차부품 자기인증제'의 조속한 시행을 건의할 방침이다.
한편 전국 자동차정비업협동조합 및 검사정비사업조합 연합회는 지난달 17일 현대모비스 불공정 거래행위를 규탄하고, 자동차부품 자기인증제 즉각 시행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한 바 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21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2월 18일부터 3월 25일까지 충청권 25개 업체를 포함해 전국 현대·기아차 가맹 정비업체 231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경쟁부품 판매 금지 △불합리한 가격 책정 △일방적 계약해지 등 현대모비스의 불공정 거래행위로 많은 애로를 겪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현대·기아차 보증수리 시 매뉴얼상 현대모비스 부품 '강제 사용'이 명시돼 있다고 응답한 업체가 95.7%, 타 사 부품을 사용할 경우 비용정산 시 ‘감액’된다는 업체가 68.4%로 조사됐다.
또 현대모비스 순정품 가격은 경쟁사 제품에 비해 평균 1.75배(최대 4.2배) 비싼 데 이에 대해 75.8%의 업체는 ‘불합리’하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정비업계에 대한 현대모비스의 이 같은 불공정 행위가 부품대리점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이뤄져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5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고, 수입부품을 순정품으로 둔갑시켜 소비자가격을 올리는 등 부당폭리를 취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자동차부품 정비업계는 2007년 4월과 지난해 8월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집회를 갖고 현대모비스에 불공정 행위 중단을 촉구했으나 아직까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중앙회는 현대모비스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비정상적인 유통구조를 바로 잡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 '자동차부품 자기인증제'의 조속한 시행을 건의할 방침이다.
한편 전국 자동차정비업협동조합 및 검사정비사업조합 연합회는 지난달 17일 현대모비스 불공정 거래행위를 규탄하고, 자동차부품 자기인증제 즉각 시행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한 바 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