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유역 부여지구생계대책위원회(위원장 염성만)은 지난 18일 부여군청 앞에서 하천부지 농민 및 농민단체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의 금강개발 계획으로 생계터전인 하천부지에 농사를 짖지 않으면 생계가 곤란하고 부여지역의 경제가 위태롭다”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대규모 집회에서 “정부의 금강개발로 농민에 생업 터전인 하천부지를 무조건 농사를 짓지말라는 것은 부당하고 부여지역의 경제가 흔들릴 것”이라며 “정부의 계획도 좋지만, 금강개발 계획에서 제외된 하천부지는 농민들이 농사를 계속해서 지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촉구했다.

부여지역생계대책위원회(이하 부생위)는 “만약 정부가 농민들의 간절한 소망이 관철되지 않을 때 농사를 지을 수 있을 때까지 강경한 투쟁을 계속한다”는 강력한 방침이다.

특히 이들은 부여군청 로타리에 부생위 투쟁본부 사무실을 차려놓고 정부에 방침을 유심히 지켜보면서 투쟁수위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김 모(세도면 청포리) 씨는 “금강을 살리자는 정부의 취지도 좋지만 하천부지에 농사를 지으면서 생계를 이어가는 농민들이 수천 명이다”라며 “정부의 중요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담당부서의 장관들도 한 번쯤은 현지를 방문, 농민들의 입장을 국가정책에 반영, 금강도 살리고 농민도 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여군청 관계자는 “농민에 입장을 충분이 알고 있고 하천부지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이 부여군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잘 알고 있다”며 “농민에 입장이 정부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강력히 요구해 농민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정책을 연구해 정부에 강력히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부여=양근용 기자 yong2004@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