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학교 홈페이지에 일본인 교장 게재로 물의를 빚고 있는 대전고가 사회적인 비난 여론에도 불구하고 무작정 버티기로 일관해 일제 잔재를 감싸고 있다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본보 13·14·15일자 1면·16일자 6면·17일자 3면 보도>
교총등 각계에서 늦게 나마 ‘유치원 명칭’ 변경 등 교육계내 일제 잔재 청산에 적극 나서는 것과 달리 대전고는 이 같은 사회적 요청마저 도외시하는 행태를 보여 일제 잔재에 대한 학교의 ‘인식’부터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대전고는 본보의 ‘일제 강점기 일인 교장 홈피 게재’ 보도 후 각계의 비난여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 홈페이지에 전신격인 공립대전중학교 일본인 교장 10명을 역대 교장란에 게재하고 있다.
대전고는 이에 대해 비록 일제 강점기 역사더라도 보는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고 이미 동문회 내 찬반 논의를 거친 사안이란 점 등을 대내외적 명분으로 내세우는 모습이지만 곱지않은 시민 여론 등을 감안할 때 부적절하다는 시각이 적잖다.
더욱이 다른 곳도 아닌 학교에서 비판없는 일제 강점기 역사 승계를 당연시하고 사회적인 요청마저 외면하는 인상을 보여 재학생들은 물론 지역 내 여타 학생들에게도 자신들의 뿌리와 한국의 근대화를 일본 제국주의 단면에서 찾는 그릇된 역사관을 심어줄 우려를 낳고 있다.
또 본보 취재 결과, 일제 강점기 당시 지역 내 학교에서 재직한 일본인 교장들이 황국신민화 등 민족정기 말살에 앞장선 사실이 드러났음에도 공식 입장 표명없이 무대응으로 일관, 되레 이를 용인하는 듯한 인상마저 줘 민족 감정을 우롱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고의 비판없는 일제 강점 역사 승계는 향후 교육계의 바람직한 한일교류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여론이다.
바람직한 한일관계는 일제의 행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사과, 반성을 전제로 새롭게 진일보할 수 있으며, 비판없은 일제 강점 역사 용인은 자칫 민족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일본의 한국강점 망언에 논리적 근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16일 일본의 대표적 극우파 인사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도쿄도지사가 “유럽 선진국에 의한 아시아 식민통치에 비해서 일본이 한 것은 오히려 부드러웠고 공평했다”는 식의 망언을 하는등 일본 극우주의자들의 망동이 일본 패망 60년 넘도록 끊이지 않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교육계의 안일한 판단이 일제 한국 강점의 정당화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홍섭 대전참여연대 사무처장은 "반성에 기초한 역사라면 문제가 아니나 대전고의 경우 반성에 기초한 기술이 아니다란 점에서 잘못된 역사관과 혼란을 부추길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