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이하 도공)의 하이패스(Hi-Pass) 시스템이 교통사고를 유발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005년 도공은 무정차에 따른 연료비 절감 및 배출가스 감소, 고속도로 통행료 처리속도 향상에 따른 톨게이트 주변 지정체 해소 등을 위해 최첨단 전자요금 수납시스템(ETCS), 하이패스를 도입해 2007년 전국 영업소로 확대 보급했다.
지난해 도공 측은 "전국 개통 1년 만에 하이패스 이용률 33%를 달성, 고속도로 이용의 패러다임을 바꿨다"고 자축했다.
그러나 현재 일반 시민은 물론 경찰까지 하이패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경찰청 고속도로순찰대 직원들은 "하이패스를 설치 운용하기 전에 국도 진출입로와 톨게이트에서 고속도로 진입로까지 도로를 최대한 확장해야 했다"며 "기존 톨게이트에 하이패스 전용 차로만 설치한 결과 진출입로에서의 사고가 끊이질 않는다"고 지적했다.
대전시 서구 둔산동 김 모(42) 씨도 "지난달 대전 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경부선 상행선 방향 좌측 차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이패스 전용 차로로 고속 주행한 대형버스와 충돌할 뻔 했다"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와 함께 하이패스 차단기의 오작동과 관련된 민원도 부지기수다.
충남 천안의 윤(44) 모 씨는 "평소 주행 속도로 톨게이트를 빠져 나가는 순간 당연히 올라갈 줄 알았던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아 급정거를 해야만 했다"며 "만약에 뒤에 차량이 있었다면 100% 추돌사고로 이어질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또 차량 통행량이 적은 소도시까지도 '하이패스의 전국개통'이라는 도공의 세리모니를 위해 교통량 분석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도입됐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도공 관계자는 "하이패스 장착 차량이라도 톨게이트 진입 시 30㎞/h 속도를 준수해야 하지만 일부 시민들이 과속으로 진입하면서 추돌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고속도로 상·하행선 분리지역에 차로 규제봉을 설치하는 등의 안전설비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지난 2005년 도공은 무정차에 따른 연료비 절감 및 배출가스 감소, 고속도로 통행료 처리속도 향상에 따른 톨게이트 주변 지정체 해소 등을 위해 최첨단 전자요금 수납시스템(ETCS), 하이패스를 도입해 2007년 전국 영업소로 확대 보급했다.
지난해 도공 측은 "전국 개통 1년 만에 하이패스 이용률 33%를 달성, 고속도로 이용의 패러다임을 바꿨다"고 자축했다.
그러나 현재 일반 시민은 물론 경찰까지 하이패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경찰청 고속도로순찰대 직원들은 "하이패스를 설치 운용하기 전에 국도 진출입로와 톨게이트에서 고속도로 진입로까지 도로를 최대한 확장해야 했다"며 "기존 톨게이트에 하이패스 전용 차로만 설치한 결과 진출입로에서의 사고가 끊이질 않는다"고 지적했다.
대전시 서구 둔산동 김 모(42) 씨도 "지난달 대전 톨게이트를 빠져 나와 경부선 상행선 방향 좌측 차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이패스 전용 차로로 고속 주행한 대형버스와 충돌할 뻔 했다"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와 함께 하이패스 차단기의 오작동과 관련된 민원도 부지기수다.
충남 천안의 윤(44) 모 씨는 "평소 주행 속도로 톨게이트를 빠져 나가는 순간 당연히 올라갈 줄 알았던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아 급정거를 해야만 했다"며 "만약에 뒤에 차량이 있었다면 100% 추돌사고로 이어질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또 차량 통행량이 적은 소도시까지도 '하이패스의 전국개통'이라는 도공의 세리모니를 위해 교통량 분석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도입됐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도공 관계자는 "하이패스 장착 차량이라도 톨게이트 진입 시 30㎞/h 속도를 준수해야 하지만 일부 시민들이 과속으로 진입하면서 추돌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고속도로 상·하행선 분리지역에 차로 규제봉을 설치하는 등의 안전설비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