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후반기 후임 의장 선거가 끝내 의회 내 주류와 비주류의 표 대결로 진행될 전망이다.
시의회 정상화를 위해 후임 의장을 합의 추대로 선출하겠다던 계획은 주류-비주류 의원들의 깊은 앙금만을 확인한 채 없던 일로 돌아갔다.
시의회는 16일 의회 대회의실에서 의원 전원이 참석하는 의원간담회를 열고 후임 의장 합의 추대의 사전 단계인 후보단일화를 위한 투표를 진행하려 했지만, 사퇴를 표명한 김남욱 의장 등 주류 측 의원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의장 후보로 나선 이상태 의원(유성2)과 심준홍 의원(대덕3)은 지난 13일 열린 의원간담회에서 후보단일화에 노력하고 합의가 안 될 경우 이날 투표로 결정키로 했었다.
그러나 이날 간담회에서 김 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나는 사퇴 명분을 '합의 추대'에서 찾았다"며 "의장 후보로 나선 의원들이 한두 번 만나 조율한다고 되는 일도 아니다.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본회의장 이외의 장소에서 의원들이 의장 후보를 단일화 한다고 투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이날 실시하려던 비공개 투표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박수범 운영위원장은 "이번달 내에 합의를 이루도록 노력하고 합의가 안 되면 4월 말 이전에 임시회를 열어서 의장을 선출하기로 했다”고 간담회 합의 내용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후임 의장은 임시회에서 표결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이상태 의원과 심준홍 의원 등 후임 의장 후보들의 선거 운동은 앞으로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날 의회의 모습은 지난 13일 전체 의원들이 모여 합의했던 내용(후보단일화를 위한 비공개 투표)을 스스로 부정하는 결과가 될 뿐만 아니라 의장직을 둘러싼 주류와 비주류 측의 ‘감투싸움’으로 비쳐질 수 있어 시민들의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시의회 정상화를 위해 후임 의장을 합의 추대로 선출하겠다던 계획은 주류-비주류 의원들의 깊은 앙금만을 확인한 채 없던 일로 돌아갔다.
시의회는 16일 의회 대회의실에서 의원 전원이 참석하는 의원간담회를 열고 후임 의장 합의 추대의 사전 단계인 후보단일화를 위한 투표를 진행하려 했지만, 사퇴를 표명한 김남욱 의장 등 주류 측 의원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의장 후보로 나선 이상태 의원(유성2)과 심준홍 의원(대덕3)은 지난 13일 열린 의원간담회에서 후보단일화에 노력하고 합의가 안 될 경우 이날 투표로 결정키로 했었다.
그러나 이날 간담회에서 김 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나는 사퇴 명분을 '합의 추대'에서 찾았다"며 "의장 후보로 나선 의원들이 한두 번 만나 조율한다고 되는 일도 아니다.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본회의장 이외의 장소에서 의원들이 의장 후보를 단일화 한다고 투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이날 실시하려던 비공개 투표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박수범 운영위원장은 "이번달 내에 합의를 이루도록 노력하고 합의가 안 되면 4월 말 이전에 임시회를 열어서 의장을 선출하기로 했다”고 간담회 합의 내용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후임 의장은 임시회에서 표결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이상태 의원과 심준홍 의원 등 후임 의장 후보들의 선거 운동은 앞으로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날 의회의 모습은 지난 13일 전체 의원들이 모여 합의했던 내용(후보단일화를 위한 비공개 투표)을 스스로 부정하는 결과가 될 뿐만 아니라 의장직을 둘러싼 주류와 비주류 측의 ‘감투싸움’으로 비쳐질 수 있어 시민들의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