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2007년도 시내버스 파업 이후 준공영제의 제도개선을 위해 마련한 5대 목표 30개 개혁과제 중 현재까지 11개 사업이 완료됐다고 16일 밝혔다.
나머지 17개 사업은 추진 중에 있으며, 2개 사업을 추가해 2012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가 노선개편 등 버스개혁을 위한 기본 토대를 구축한 한 해였다면, 올해는 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다양한 친절운동 전개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자 확산의 해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시에 따르면 종전 대전시의 ‘무한책임형 준공영제’는 시와 업체가 각자 책임을 다하는 ‘역할분담형 준공영제’로 전환하기 위해 우선 수입금 관리주체를 시에서 버스조합으로 전환했다.
또 모든 원가지급기준을 대당 원가로 변경, 책임있는 노사문화 확립과 사업주의 책임경영을 강화했으며, 지난해 5월부터는 표준연비제를 도입해 약 14억 원의 연료비를 절감했다.
또 버스개혁의 핵심과제인 버스노선체계를 효율화하기 위해 지난해 말 버스노선을 전면 개편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나머지 17개 사업은 추진 중에 있으며, 2개 사업을 추가해 2012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가 노선개편 등 버스개혁을 위한 기본 토대를 구축한 한 해였다면, 올해는 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다양한 친절운동 전개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자 확산의 해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시에 따르면 종전 대전시의 ‘무한책임형 준공영제’는 시와 업체가 각자 책임을 다하는 ‘역할분담형 준공영제’로 전환하기 위해 우선 수입금 관리주체를 시에서 버스조합으로 전환했다.
또 모든 원가지급기준을 대당 원가로 변경, 책임있는 노사문화 확립과 사업주의 책임경영을 강화했으며, 지난해 5월부터는 표준연비제를 도입해 약 14억 원의 연료비를 절감했다.
또 버스개혁의 핵심과제인 버스노선체계를 효율화하기 위해 지난해 말 버스노선을 전면 개편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