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불황으로 고용 위기를 겪고 있는 충청권 100인 이상 사업장 10곳 중 2곳만이 ‘잡 셰어링(Jod Sharing)’에 동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4일 노동부에 따르면 전국 100인 이상 사업장 1만 2782곳 중 임금결정 권한을 갖고 있는 6781곳에 대해 전수조사한 결과, 22.8%인 1544곳이 임금 동결·삭감이나 근로시간 조정 등을 통해 고용을 유지하거나 추가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도별로는 경북의 참여율이 42.0%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13.0%로 가장 저조했다.
<표 참조>충청권의 경우 628곳 중 152곳(24.2%)이 일자리 나누기에 동참했으며 대전은 25.2%(155곳 중 39곳), 충남은 22.7%(260곳 중 59곳), 충북은 25.4%(213곳 중 54곳)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이는 서울(13.0%)·광주(17.2%)·부산(18.5%)에 비해서는 높지만 경북(42.0%)·대구(32.0%)·인천(31.8%)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또 공공기관의 일자리 나누기 참여율(34.9%)이 민간기업 참여율(22.3%)보다 12.6%포인트 높았고, 업종별로는 금융업(34.3%)과 제조업(33.0%)의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정부는 지난 1월 29일 비상경제대책회의를 통해 일자리 나누기에 대한 지원 방안을 발표했고, 2월 23일에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민·정 합의’를 도출한 데 이어 추경예산 편성에 고용유지지원금 확대(21만 명·3653억 원), 무급휴업근로자 지원수당 신규 반영(6만 명·992억 원), 중소기업 고용안정자금 대부 신설(619억 원), 지역 노사민정 협력 활성화(50억 원) 등을 반영했다.
이재갑 노동부 고용정책관은 "일자리 나누기를 통해 실직에 따른 개인과 사회의 부담과 고통을 완화하고, 노사가 합심으로 위기를 극복함으로써 노사관계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일자리 나누기 실천 분위기가 확산되도록 제도적 지원방안을 강화하고 모범사례를 적극 발굴·홍보하겠다”고 말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