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 여파로 직장인 2명 중 1명은 임금체불을 경험했고, 체불이 지속될 경우 이들이 재정적으로 버틸 수 있는 기간은 3.4개월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1195명을 대상으로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3.1%가 최근 '임금체불을 겪었다'고 답했다.
임금체불의 수위(복수응답)에 대해서는 ‘급여 전액 미지급'이 64.4%로 가장 많았고, ‘급여 일부 미지급'(26.9%), '연말정산 환급금 미지급'(18.0%), '인센티브·성과급 미지급'(17.8%), '야근수당·특근비 미지급'(14.8%), '식대·유류비 미지급'(9.9%), '연봉 인상분 미지급'(8.0%)이 뒤를 이었다.
임금체불이 지속된 기간은 평균 2.8개월, 재정적으로 버틸 수 있는 기간은 평균 3.4개월로 집계됐다.
또 체불에 따른 재정난 해소를 위해 '가족·친지에게 빌림'(36.1%), '보험·적금 해약'(26.5%),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이용'(26.3%), ‘마이너스 통장 개설'(14.8%), '투잡(Two job)'(9.1%), '예금·적금 담보 소액대출'(8.0%), '직장인 신용대출'(8.0%) 등의 방법이 동원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체불된 임금에 대해서는 43.5%가 '일부는 받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고, '전액 모두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38.4%, '전혀 받지 못할 것'이란 응답은 18.1%를 차지했다.
체불에 대처하는 행동요령으론 58.6%가 '우선 다니면서 서서히 이직을 준비한다', 26.5%가 '퇴사한 뒤 본격적으로 이직을 준비한다'고 답했고, '회사 재정상태가 나아지기를 바라며 열심히 일한다'는 애사(愛社)형 직장인은 8.5%에 불과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1195명을 대상으로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3.1%가 최근 '임금체불을 겪었다'고 답했다.
임금체불의 수위(복수응답)에 대해서는 ‘급여 전액 미지급'이 64.4%로 가장 많았고, ‘급여 일부 미지급'(26.9%), '연말정산 환급금 미지급'(18.0%), '인센티브·성과급 미지급'(17.8%), '야근수당·특근비 미지급'(14.8%), '식대·유류비 미지급'(9.9%), '연봉 인상분 미지급'(8.0%)이 뒤를 이었다.
임금체불이 지속된 기간은 평균 2.8개월, 재정적으로 버틸 수 있는 기간은 평균 3.4개월로 집계됐다.
또 체불에 따른 재정난 해소를 위해 '가족·친지에게 빌림'(36.1%), '보험·적금 해약'(26.5%),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이용'(26.3%), ‘마이너스 통장 개설'(14.8%), '투잡(Two job)'(9.1%), '예금·적금 담보 소액대출'(8.0%), '직장인 신용대출'(8.0%) 등의 방법이 동원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체불된 임금에 대해서는 43.5%가 '일부는 받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고, '전액 모두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38.4%, '전혀 받지 못할 것'이란 응답은 18.1%를 차지했다.
체불에 대처하는 행동요령으론 58.6%가 '우선 다니면서 서서히 이직을 준비한다', 26.5%가 '퇴사한 뒤 본격적으로 이직을 준비한다'고 답했고, '회사 재정상태가 나아지기를 바라며 열심히 일한다'는 애사(愛社)형 직장인은 8.5%에 불과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