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침체와 각종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실수요자 위주로 개편되면서 고분양가 아파트는 외면당하고 있다.▶관련기사 3면
반면 이익을 줄이고, 분양가 인하를 단행하는 분양 아파트들은 불황 속에도 나름대로 선전하고 있다.
‘분양가는 수요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적정선까지 낮춰야 미분양이 없다’는 시장의 반응이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서 객관화돼 가고 있다는 것이다. 현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조치로 얼어붙었던 아파트 분양시장에 변화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우선 주택건설업체들은 아파트 분양가를 인하하거나 할인가격으로 분양에 나서고 있어 주목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기의 미분양아파트 발생은 금융비용 손실과 건설사 이미지 실추 등이 뒤따라 실수요자들이 수용 가능한 선에서 분양가를 조정하고 있는 것.
올해 대전지역 첫 분양물량으로 주목받았던 ‘리슈빌 학의 뜰’은 분양가를 재책정하는 과정을 겪었다.
계룡건설 관계자는 “유망택지의 분양 물량이지만 신규 주택 수요자들이 온통 분양가에만 신경을 쓰고 있어 수요자의 수용가능선에서 분양가를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리슈빌 학의 뜰’은 1, 2, 3순위 청약에서 모든 주택형의 청약이 마감됐으며, 초기계약률 65%를 기록했다. ‘리슈빌 학의 뜰’ 분양 바통을 넘겨받는 ‘오투그란데’의 시행·시공사인 제일건설은 공식적으로 분양가 인하에 불을 붙였다.
제일건설은 내달 학하지구 '오투그란데’ 1000가구 분양에 앞서 “대전시민을 위해 분양가를 최대한 낮추겠다. 주변 분양아파트보다 낮은 분양가로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대전지역에 할인 아파트가 공개적으로 등장한 것은 지난해 11월 풍림산업에서 시행·시공하는 금강엑슬루타워. 기존 계약자 반발 등에 따른 부작용으로 아파트 할인판매는 물밑거래로 진행돼 공식적인 할인율은 없지만 풍림산업은 주택시장에 금융위기까지 겹치면서 자금난 해소를 위해 분양 아파트 할인판매를 실시했다.
대전공인중개사회 관계자는 “세상에 안 팔리는 물건은 없다. 원하는 가격에 안 팔리는 것일 뿐”이라며 “침체기 부동산 시장에서 분양물량의 선전은 적정수준으로 분양가를 낮췄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반면 이익을 줄이고, 분양가 인하를 단행하는 분양 아파트들은 불황 속에도 나름대로 선전하고 있다.
‘분양가는 수요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적정선까지 낮춰야 미분양이 없다’는 시장의 반응이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서 객관화돼 가고 있다는 것이다. 현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조치로 얼어붙었던 아파트 분양시장에 변화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우선 주택건설업체들은 아파트 분양가를 인하하거나 할인가격으로 분양에 나서고 있어 주목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기의 미분양아파트 발생은 금융비용 손실과 건설사 이미지 실추 등이 뒤따라 실수요자들이 수용 가능한 선에서 분양가를 조정하고 있는 것.
올해 대전지역 첫 분양물량으로 주목받았던 ‘리슈빌 학의 뜰’은 분양가를 재책정하는 과정을 겪었다.
계룡건설 관계자는 “유망택지의 분양 물량이지만 신규 주택 수요자들이 온통 분양가에만 신경을 쓰고 있어 수요자의 수용가능선에서 분양가를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리슈빌 학의 뜰’은 1, 2, 3순위 청약에서 모든 주택형의 청약이 마감됐으며, 초기계약률 65%를 기록했다. ‘리슈빌 학의 뜰’ 분양 바통을 넘겨받는 ‘오투그란데’의 시행·시공사인 제일건설은 공식적으로 분양가 인하에 불을 붙였다.
제일건설은 내달 학하지구 '오투그란데’ 1000가구 분양에 앞서 “대전시민을 위해 분양가를 최대한 낮추겠다. 주변 분양아파트보다 낮은 분양가로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대전지역에 할인 아파트가 공개적으로 등장한 것은 지난해 11월 풍림산업에서 시행·시공하는 금강엑슬루타워. 기존 계약자 반발 등에 따른 부작용으로 아파트 할인판매는 물밑거래로 진행돼 공식적인 할인율은 없지만 풍림산업은 주택시장에 금융위기까지 겹치면서 자금난 해소를 위해 분양 아파트 할인판매를 실시했다.
대전공인중개사회 관계자는 “세상에 안 팔리는 물건은 없다. 원하는 가격에 안 팔리는 것일 뿐”이라며 “침체기 부동산 시장에서 분양물량의 선전은 적정수준으로 분양가를 낮췄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